533 0

청년층 특성에 따른 공유 주거 디자인 연구

Title
청년층 특성에 따른 공유 주거 디자인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Shared Housing Desig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Youth
Author
모 조 설
Alternative Author(s)
MAOZHAOXUE
Advisor(s)
남경숙
Issue Date
2019.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공유 주거 디자인의 중요한 기준은 사용자 중심으로, 사용자 생리적, 심리적, 물질적 및 정신적 측면에서 분석되어 있다. 사용자를 중심으로 사용자 수요로부터 공간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반영하고 있다. 사회 및 경제의 글로벌화가 진전되어, 디자인의 통합과 발단을 가져왔다. 청년들이 갈수록 도시로 몰리고 있기 때문에 주택 임대가 우선적인 생활문제가 될 수밖에 없다. 좋은 주거 환경은 청년층의 생리와 심리의 건전한 발전에 도움이 된다. 취업한 청년들의 대다수가 중, 저소득 청년층으로 높은 임대료와 높은 집값의 현실에서 전세 비용은 생활에서 가장 큰 경제적 부담으로 작용한다. 인재풀의 질적, 가격적합성, 그리고 도시 청년 저소득자의 근무,학습,사교 등 생활행위에 걸맞게 도시 청년 저소득자의 과도적 주거공간에 대한 수요를 완화하는 과도적 주택에 따라 공유주거의 실내 환경 개선과 청년층의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청년들의 심리적 특성과 생활 욕구를 전반적으로 파악하고 사용자 체험을 조사해 사용자 중심의 공유주택을 만들어야 한다. 본 논문은 청년 사용자의 수요를 출발점으로 공유주택 환경을 매개로 하여 1인 가구 및 사회주택 유형을 연구함으로서 사용자의 관점에서, 사용자의 니즈에 유의하고, 공유주택의 특징적 표현을 강조하며, 사용자의 니즈를 결합하여 인간적으로 설계하였다. 본 연구는 주로 다섯 가지 부분으로 나누어지고 있다. 첫째, 연구의 배경 및 목적을 설정하고 연구의 방법 및 범위를 한정하였다. 둘째, 이론적 고찰. 공유 주거와 1인가구의 증가 현황을 고찰하고 공유 주거의 공간구성 및 구성요소를 분석하였다. 또한 청년층의 정의, 주거 수요와 청년층에 대한 1인 가구 유형별 라이프스타일을 정리하여 청년층을 3가지 유형으로 나누었다. 그리고 공유 주거 특성, 각 공간별 공간구성을 설명하여 공간의 5개 특성요소를 정리하고 대응한 공간과 결합하여 설명하였다. 공간특성은 접근성, 개방성, 확장성, 독립성, 교류성을 나타냈고, 이는 서로 관계성이 있다. 다음에는 공간디자인 요소를 도입하여 색채, 조명, 가구를 정리하였다. 셋째, 조사대상 분석. 한국 공유주거 3곳, 일본 공유주거 3곳을 조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공간 평가 기준에 따라 공간별로 공간요소 및 공간디자인 요소를 분석하고 현황을 설명하였다. 넷째, 사용자 분석이다. 공간별에 따라 사용자의 거주 수요 및 거주 의향을 인터넷으로 설문조사를 통하여 분석하고 사용자의 라이프스타일과 행위 빈도를 정리하였다. 조사 결과 각 공간 현황 분석에 따라 공간에 존재하는 문제점을 발견하고 정리하며 평가 기준과 인체공학을 결합하여 제안하였다. 또한 청년층 수요에 맞는 공유주거의 기능 공간 배치를 제시한다. 이를 통해 청년층의 주거 수요의 분석을 바탕으로 부엌, 화장실 등 기본 생활 지원공간의 사용 빈도와 자신의 경제 상황을 조합하여 청년층의 거주 가구(1인 가구 또는 2인 가구)와 특성을 분석하였다. 다섯째, 모델링을 통한 계획안 제시. 결과분석을 통해 거주자의 공유주택 선택원인과 거주자의 일상행위별 특성을 파악하였다. 또한 인체공학적 설계 기준에 의해 커뮤니티 공유 공간과 기본생활 지원 공유 공간, 사생활 보호 공간의 건축 계획측면의 공간디자인 계획안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 공유 주택의 미래 발전으로부터 이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사용자의 의견을 청취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나은 주거 장소를 제공하고자 한다. 현대 공유 주택 공간 설계의 기초 재료로서 공유 주택을 위한 새로운 정의가 작성해질 것으로 기대해 본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08989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6403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INTERIOR ARCHITECTURE DESIGN(실내건축디자인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