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0 0

동아시아 문학, 새로운 패러다임과 방법론

Title
동아시아 문학, 새로운 패러다임과 방법론
Other Titles
East Asian Literature: New Paradigms and Methodologies
Author
이도흠
Keywords
동아시아 문학; 서발턴; 호모 사케르; 대대; 타자성; 오리엔탈리즘; 포스트 휴머니즘; East Asian literature; subaltern; homo sacer; Daedae待對; alterity; orientalism; post-humanism
Issue Date
2019-02
Publisher
한국비교문학회
Citation
비교문학,제77권, Page. 85-117
Abstract
지금 동아시아는 중심과 주변, 제국과 식민, 지배와 종속, 포섭과 배제, 억압과 해방이 뒤섞여 요동치고 있다. 그동안 유럽의 문학과 사상, 문화가 ‘중심, 보편, 우리’이고 아시아의 그것들은 ‘주변, 특수, 타자’였다. 아시아인 또한 이를 내면화하였다. 아시아 작가와 지식인에게 1차, 2차, 3차, 4차 오리엔탈리즘이 혼재한다. 이에 대립자를 내 안에 모시는 상생의 퍼지적 사유인 대대(待對)의 패러다임을 가진 제3세계의 주체들이 유럽중심주의와 중화주의는 물론, 기존의 사회경제적 토대, 텍스트와 담론을 해체하고 탈영토화하며 세계체제(world system) 자체를 혁신하여야 한다. 아시아와 유럽은 서로 거울이자 타자다. 동아시아는 서양의 모방과 저항의 과정에서 고정된 정체성을 형성하였다. 이에 동일성에서 차이의 패러다임으로 전환하고 타자와 공감하고 환대/연대하는 타자성(alterity)을 획득하는 것이 필요하다. 앞으로 동아시아 문학은 국민국가 체제와 민족주의에 균열을 내고 중심-파워엘리트, 남성, 다수민족-에서 주변-서발턴과 호모 사케르, 여성, 소수민족-으로 시선을 옮기고 그들의 목소리를 대변해야 한다. 동아시아 문학작품의 비평은 실증주의, 역사주의, 맑시즘에서 벗어나 젠더, 인종, 아비투스, 이데올로기, 담론을 포괄하는 총체적인 문화론으로 이행해야 한다. 동아시아 문학은 전 지구 차원의 환경위기와 4차 산업혁명을 맞아 근본적으로 인간중심주의에서 포스트휴머니즘으로 전환이 필요하다. Now East Asia is shaking with its center/periphery, imperial/ colonization, domination/subordination, inclusion/exclusion, and oppression/ liberation. European literature, ideology and culture are ‘central, universal, us’, but those of Asia are 'periphery, special, other'. The Asian people also internalize those.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orientalism are is inherent in the mind of Asian writers and intellectuals mixedly. I propose the thought of Daedae(待對) as a new paradigm to dismantle the dichotomy between the center and the periphery, the subject and the other. The subject of with the thought of Daedae should dismantle the existing economic base, texts and discourses as well as Euro-centrism, Orientalism, and cino-centrism, and pursue deterritorialization and innovate the world-system. Asia and Europe are mirrors and others to each other. East Asia formed a fixed identity in the process of imitation or resistance to the Wes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hift from identity to paradigm of difference and to acquire the alterity welcoming others. In the future, East Asian literature should shift from the center-the powerelite, man, topdog to the periphery-subaltern, homo sacer, underdog, woman, and represent their voices by cracking the national state system and nationalism. Critics of East Asian literature should shift from positivism, historicism, and marxism to holistic cultural studies that include gender, race, abitus, ideology, and discourse. East Asian literature should shift from anthropo-centrism to post-humanism in the face of global environmental crisis an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URI
http://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3659787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07110
ISSN
1225-0910
DOI
10.21720/complit77.04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HUMANITIES[S](인문과학대학) > KOREAN LANGUAGE & LITERATURE(국어국문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