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98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경렬-
dc.date.accessioned2019-05-22T06:15:08Z-
dc.date.available2019-05-22T06:15:08Z-
dc.date.issued2018-05-
dc.identifier.citation커뮤니케이션학 연구, v. 26, No. 2, Page. 117-138en_US
dc.identifier.issn1598-4494-
dc.identifier.urihttp://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3601955-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05494-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SNS 동영상형 네이티브광고에 대한 광고 혹은 정보 구분의 모호성이 설득지식의 활성화 수준을 매개하여 설득효과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소비자들이 동영상형 네이티브광고를 얼마나 ‘정보’로 받아들이려고 하느냐에 따라서 설득지식의 활성화 수준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이러한 설득지식의 활성화 수준의 차이가 동영상형 네이티브광고에 대한 태도에도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광고 혹은 정보 구분의 모호성이 소비자들의 설득지식의 활성화 수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설득지식의 활성화 수준은 광고태도에 연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SNS 동영상형 네이티브광고에 대한 광고 혹은 정보구분의 모호성이 설득지식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마케터의 설득 의도를 명확히 인지하지 못할 경우 설득지식의 활성화 수준 또한 낮아진다는 것을 말해준다. 또한 본 연구는 소비자들의 설득지식의 활성화 수준이 높을수록 SNS 동영상형 네이티브광고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가 증가한다는 것을 검증함으로서 기업 혹은 마케터의 설득시도에 대한 소비자의 반응이 설득지식에 달려있다는 설득지식모델의 기본적인 가정이 SNS 동영상형 네이티브광고에도 적용된다는 사실을 입증하였다. 반면 SNS 동영상형 네이티브광고에 대한 광고 혹은 정보 구분의 모호성에서 광고태도에 이르는 직접 경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SNS 동영상형 네이티브광고의 광고 혹은 정보 구분의 모호성은 소비자들의 설득지식의 활성화 수준을 매개하여 광고태도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en_US
dc.language.isoko_KRen_US
dc.publisher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en_US
dc.subject소셜미디어en_US
dc.subjectSNSen_US
dc.subject동영상광고en_US
dc.subject네이티브 광고en_US
dc.subject설득지식모델en_US
dc.subject광고태도en_US
dc.subject광고효과en_US
dc.subjectSNS Advertisingen_US
dc.subjectVideo Advertisingen_US
dc.subjectNative Advertisingen_US
dc.subjectPersuasion Knowledgeen_US
dc.subjectAttitude toward Adsen_US
dc.titleSNS 동영상형 네이티브광고에 대한 광고 혹은 정보 구분의 모호성이 설득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설득지식 활성화 수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en_US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Effects of Whether SNS Users Perceive Video Native Ads as ‘Advertising’ or ‘Information’ on Effects of Video Native Ads: With Emphasis on the Intermediating Effects of the Activation Level of Persuasion Knowledgeen_US
dc.typeArticleen_US
dc.relation.no2-
dc.relation.volume26-
dc.relation.page117-138-
dc.relation.journal커뮤니케이션학 연구-
dc.contributor.googleauthorLee, Kyung Yul-
dc.relation.code2018019880-
dc.sector.campusE-
dc.sector.daehakCOLLEGE OF COMPUTING[E]-
dc.sector.departmentDIVISION OF MEDIA, CULTURE, AND DESIGN TECHNOLOGY-
dc.identifier.pidkylee19-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COMPUTING[E](소프트웨어융합대학) > MEDIA, CULTURE, AND DESIGN TECHNOLOGY(ICT융합학부)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