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5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상진-
dc.date.accessioned2019-05-22T01:00:16Z-
dc.date.available2019-05-22T01:00:16Z-
dc.date.issued2018-01-
dc.identifier.citation시조학논총, No. 48, Page. 165-192en_US
dc.identifier.issn1226-2838-
dc.identifier.uri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07364190#-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05307-
dc.description.abstract본고는 고전과 현대의 엮어 읽기 방법의 하나로, 대중가요인 ˂四季˃를 사사가계 시조의 맥락에서 파악하고자 하였다. ‘四時歌’란 사시의 순환을 노래한 작품으로, 우리나라 사시가계 시조는 맹사성의 ˂강호사시가˃가 그 출발이다. 이후 19세기 위백규의 ˂농가 구장˃에 이르기까지 면면히 창작되었고, 고시조의 소멸과 함께 사시가계 시조의 명맥도 끊어지게 되었다. 이후 1989년에 발표된 대중가요 ˂사계˃는 시대와 장르, 향유층은 다르지만 작품의 구성과 내용 등은 사시가계 시조의 맥락을 계승하고 있어서 흥미롭다. 이에, 본고에서는 대중가요 ˂사계˃를. ˂강호사시가˃를 중심으로 한 사시가계 시조의 맥락에서 고찰하였다. 이러한 대중가요 ˂사계˃의 작품적 특성은 첫째, 四時의 순환, 엔딩의 반복, 후렴구의 삽입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이것은 사시가계 시조의 전통을 계승, 또는 변용한 것으로 파악된다. 그런데 흥미로운 것은 사시가계 시조의 전통을 계승한 것은 물론, 그것의 변용 또한 사시가로서의 구성과 의미를 견고히 하는데 일조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사시가계 시조의 중요한 특징은, 사시의 순환 질서로 표상되는 자연의 아름다움을 묘사하는 가운데 시대의 대표적 이념이나 현실적 상황을 노래한다는 점이다. 따라서 ˂강호사시가˃가 노래하는 ‘君恩의 찬양’과 ˂사계˃가 노래하는 ‘노동 현장의 고달픔’에는 상당한 거리가 있지만, 양자 모두 시대정신을 표현했다는 공통점을 지닌다. 이로써 ˂사계˃는 현대의 대중가요이면서 그것의 중심에는 고시조의 맥락을 수용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en_US
dc.language.isoko_KRen_US
dc.publisher한국시조학회en_US
dc.subject대중가요en_US
dc.subject四季en_US
dc.subject사시가계 시조en_US
dc.subject강호사시가en_US
dc.subject계승과 변용en_US
dc.subject四時의 순환en_US
dc.subject엔딩의 반복en_US
dc.subject후렴구의 삽입en_US
dc.subject시대정신en_US
dc.subjectPopular songen_US
dc.subjectFour seasonsen_US
dc.subjectSasiga-line sijoen_US
dc.subjectGanghosasigaen_US
dc.subjectSuccession and transformationen_US
dc.subjectCycles of four seasonsen_US
dc.subjectRepeat of endingen_US
dc.subjectInsertion of refrainen_US
dc.subjectSpirit of the timesen_US
dc.title四時歌系 시조의 맥락과 노·찾·사의 ˂四季˃ - 孟思誠의 ˂江湖四時歌˃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en_US
dc.title.alternativeIn the context of Sasiga-line Sijo(四時歌系 時調) and Nochatsa(노찾사)" 〈Four Seasons〉 -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with Mang Sa-seong(孟思誠)"s 〈Ganghosasiga〉 -en_US
dc.typeArticleen_US
dc.relation.no48-
dc.relation.page165-192-
dc.relation.journal시조학논총-
dc.contributor.googleauthor김상진-
dc.relation.code2018018348-
dc.sector.campusE-
dc.sector.daehakCOLLEGE OF LANGUAGES & CULTURES[E]-
dc.sector.department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 LITERATURE-
dc.identifier.pidjeank29-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LANGUAGES & CULTURES[E](국제문화대학) > KOREAN LANGUAGE & LITERATURE(한국언어문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