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1 0

미국 대도시권의 현재: 52개 대도시권 센서스 자료에 대한 거시적 분석

Title
미국 대도시권의 현재: 52개 대도시권 센서스 자료에 대한 거시적 분석
Other Titles
The Current Condition of the U.S. Metropolitan Areas - Macroscopic Analysis of Census Data of the 52 Largest Metropolitan Areas -
Author
김흥순
Keywords
대도시권; 중심도시; 교외; 미국 센서스 자료; 스마트 성장; Metropolitan Areas; Central Cities; Suburbs; U.S. Census Data; Smart Growth
Issue Date
2019-03
Publisher
국토지리학회
Citation
국토지리학회지, 제53권, 1호, Page. 1-20
Abstract
이 연구는 미국 대도시권의 변화와 현황을 알아보기 위해 2000년과 2016년 미국 센서스 자료를 이용하여 52개 대도시권 및 중심도시의 인구, 고용, 주거, 통행 관련 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t-test와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교외와 중심도시의 기존 성격은 크게 변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들을 포괄하는 대도시권은 공간적 광역성과 지리적 혼종성으로 인해 그 성격이 다소 모호하게 나타났다. 현재 미국의 대도시권은 교외화와 재도시화 단계가 함께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스마트 성장의 슬로건은 30년이 경과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충분히 착근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백인비율과 통행시간이 반비례하는 것은 백인들이 상대적으로 직장근처에 주거지를 얻으려는 성향을 갖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이 연구는 도시(권) 성장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인은 고용임을 확인하였다. 미국 사회 전반의 백인 감소와 더불어 대도시권에서도 인종에 의한 효과는 과거에 비해 미세하나마 약해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analyzed population, employment, housing, and transit factors using U.S. census data in 2000 and 2016 to identify changes and status in the metropolitan areas and their central cities. T-test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employed as the analysis method. The analysis result shows that the stereotyped images of suburbs and central cities have sustained as ever. However, the metropolitan areas, which encompass them, appeared to have somewhat ambiguous characters due to the spatial wideness and geographic hybridity. Currently, it is believed that both the suburbanization and the re-urbanization stages are underway in the U.S. metropolitan areas. The slogan of smart growth, even though it has been over 30 years, has not been fully seated yet. The inverse proportion between the percentage of whites and the travel time may be interpreted as a sign that whites are relatively inclined to seek their shelters near workplaces. This study identified that employment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urban growth. As with the overall decline of caucasian population in the U.S., the effects of racial quotients in metropolitan areas seem to be slightly weaker than in the past.
URI
http://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3665980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04608
ISSN
1225-3766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NGINEERING[S](공과대학) > URBAN PLANNING AND ENGINEERING(도시공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