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57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구자순-
dc.date.accessioned2019-05-16T06:35:10Z-
dc.date.available2019-05-16T06:35:10Z-
dc.date.issued2008-03-
dc.identifier.citation사이버커뮤니케이션 학보, v. 25, No. 1, Page. 197-242en_US
dc.identifier.issn1598-5733-
dc.identifier.urihttp://www.dbpia.co.kr/Article/NODE01055273-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04351-
dc.description.abstract이 논문은 1997-2007년 기간에 국내 사회학 관련 학회지에 게재된 사이버공간에 대한 연구논문들을 연도별 연구주제, 이론 및 방법으로 분류하여 내용분석하고 이를 통해 사이버공간사회학에 연구동향을 밝혀보았다. 학술성과로 추출 분류된 사회학자들의 논문을 검토한 결과 2000년 이후 논문 수에 두드러진 증가를 보이면서 연구주제도 사이버페미니즘, 정보 불평등, 사이버범죄 및 일탈, 사이버공동체 개념, 정보산업 및 경제, 사이버민주주의, 사이버공간에서의 사회자본, 자아표현과 인상관리 등으로 확장 및 심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에 적용한 이론과 주제를 보면 헤러웨이의 사이버페미니즘, 카스텔의 네트워크사회론, 쉴러의 정보 불평등이론, 부르디외의 문화자본론, 하버마스의 의사소통이론과 공론장과 숙의민주주의, 린의 사회자본 및 합리적 선택, 고프만의 자아표현 및 인상관리론, 그리고 신경제론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연구방법은 주로 경험적 연구이었으며, 60%가 양적연구였고, 온라인 설문지조사가 두드러져 다차원 척도를 이용한 것들이었다. 질적 방법도 온라인에 직접 참여하여 관찰하는 민속지적방법인 넷스노그래피(nethonography)를 사용하였다. 특징으로는 정량분석, 담론분석, 참여관찰 등 다각적 방법을 사용하여 사이버공론장과 사이버공간에서 사회관계망을 분석한다는 점이다. 동향으로는 2000년대 초반까지는 정부기관 및 지역자치단체 지원으로 정보격차 및 지역정보화정책연구가 활발하였고, 이후부터는 사이버공동체에서의 상호작용과 사회관계 변형에 지속적 연구가 행해지고 있었으며, 최근에는 일인미디를 이용한 사회네트워킹 연구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었다. 향후과제로는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및 사회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한 사회학적 연구와 한국의 토착적 사이버 공간사회학 이론개발을 위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recent research trends in the Korean sociology of cyberspace over the period of 1997-2007. Research articles published in related academic journals were examined for content analysis under three major content classifications: research subject; theory; and research method. The research has made a noticeable increase in the number of published articles. Research has been extended to such various subjects as cyberfeminism digital divide, information policy, concept of cybercommunity, impression management, information economy and industry, cyberdemocracy, social capital, and cybercrime. Seven sociological theories were mostly used to analyze the research: Haraway's cyberfeminism; Sheller's critical theory for information inequality; Bourdieu's cultural capital; Harbermas's communicative theory for public spare and deliberate democracy; Goffman's theory for impression management in cyberspace; Lin's theories for social capital and rational choice; New economy paradigm; and Castle's network society theory. Quantitative methods using multivariate statistical analysis such as regression, factor analysis, and path analysis were used. Participant observation and nethnography on cyberspace were used for qualitative research in cybercommunity. Triangulation method was used to study public spare and social network in cyberspace. Of note, during early 2000, research into digital divide and information policy of local area received support from either national or local government and, during the last 4 years,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information technology. Consistently, cyberspace research has been of the pattern of social interaction and social relationship in cybercommunity. Researchers of cyberspace sociology need to make efforts to theorize the Korean cyberspace situation and develop universal explanatory theories contributable to the global cyberspace. Furthermore, under changing ICT environments, they need to research such subjects as mobile communication and social networking service within a Korean cultural context.en_US
dc.language.isoko_KRen_US
dc.publisher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en_US
dc.subject사이버공간사회학en_US
dc.subject연구동향en_US
dc.subject연구과제en_US
dc.subjectcyberspace sociologyen_US
dc.subjectresearch trenden_US
dc.subjectresearch subjecten_US
dc.title사이버공간에 대한 한국 사회학의 연구 동향 : 1997-2007en_US
dc.title.alternativeRecent Research Trends in the Korean Sociology of Cyberspace: 1997-2007en_US
dc.typeArticleen_US
dc.relation.journal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dc.contributor.googleauthor구자순-
dc.relation.code2012213968-
dc.sector.campusE-
dc.sector.daehakCOLLEGE OF COMMUNICATION[E]-
dc.sector.departmentDEPARTMENT OF INFORMATION SOCIOLOGY-
dc.identifier.pidkoojs-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COMMUNICATION[E](언론정보대학) > INFORMATION SOCIOLOGY(정보사회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