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91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송지성-
dc.date.accessioned2019-05-09T00:55:27Z-
dc.date.available2019-05-09T00:55:27Z-
dc.date.issued2017-09-
dc.identifier.citation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 23, No. 3, Page. 1-14en_US
dc.identifier.issn1598-6497-
dc.identifier.uri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07247554-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03594-
dc.description.abstract경기 침체의 장기화에 따른 내수 부진으로 전반적인 소비 감소에도 불구하고 온라인 쇼핑몰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특히 온라인 쇼핑을 위한 인터페이스의 경우, PC보다 모바일을 더 많이 사용하는 추세에 따라 모든 소매 브랜드에 브랜드 아이덴티티가 있는 앱을 출시하여 판매망을 확대하고 있다. 따라서 빠르게 변화하는 유통환경에 발 맞춰 온라인 마케팅을 위한 브랜드 웹 아이덴티티의 새로운 성립이 요구 되고 있다. 본 연구는 현재 국내 대표적인 편의점 브랜드인 CU와 GS25의 온라인 구매 채널과 모바일 앱의 방식을 살펴보고 각각의 웹 아이덴티티 전략과 표현을 알아보았다. 1인 가구가 늘어남에 따라 10~30대의 독신자가 선호하는 편의점 브랜드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쇼핑을 통해 소량 구매로 인해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편의점의 모바일 유통은 O2O서비스를 통해 배달, 보관 및 결제가 일괄적으로 가능하게 되었고 브랜드 인지도 및 매출 성장에 기여하고 있다. 이로써 브랜드 웹 아이덴티티가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구성 요소로 비중이 커지게 되었다. 연구의 방법과 범위는 기존의 웹 아이덴티티의 개념을 고찰하고 국내 대표편의점인 CU와 GS25의 각각 브랜드 아이덴티티와 웹 아이덴티티 간의 일관성을 갖고 있는지와 온라인 판매망에 대해 활용방식을 연구하였다. 특히 모바일 쇼핑의 증가로 인해 모바일 앱이 웹 아이덴티티에 미치는 영향과 효과가 어떠한 가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 온, 오프라인 믹스의 시대를 맞아 브랜드의 웹 아이덴티티는 시각적인 요소와 비시각적인 요소의 결합으로 재구성하는 것을 전제로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일관된 브랜드 정체성을 통합을 위해 자 체 웹 아이덴티티의 전략과 표현이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Despite the overall decline in consumption due to sluggish domestic demand stemming from the prolonged recession, the online shopping mall market is growing rapidly. Especially in case of the interface for online shopping, it is expanding its sales network by launching apps with brand identity in all retail brands, with the tendency to use more mobile than PC. Therefore, a new brand web identity for online marketing is required to meet the rapidly changing distribution environment.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method of online purchase channels and mobile apps of CU and GS25, which are representative domestic convenience store brands, and examined the strategy and expression of each web identity. As the number of one-person households grows, convenience store brands, which are favored by the consumers in their 10s to 30s, are increasing at a rapid pace because of small quantity purchase, using mobile applications shopping. The convenience of the convenience store’s mobile distribution service has been able to deliver, storage, and payment through O2O services, and has excellent effects on the brand perception as well as the increase in sales. This has led to the growing importance of brand identity to the identity of brand identity. The study is intended to examine the concept of existing web identity. In addition, whether CU and GS 25 representative Korean convenience stores have consistency in their own brand and web identity and how to use the online sales network were studied. In conclusion, in the era of on and offline mix,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strategy and presentation of the web identity itself are important in order to integrate the identify of brand in a consistent way under the premise of reconstituting them by combining the visual and non-visual elements.en_US
dc.language.isoko_KRen_US
dc.publisher한국디자인문화학회en_US
dc.subjectBrand Identityen_US
dc.subject브랜드 아이덴티티en_US
dc.subjectBrand Web Identityen_US
dc.subject브랜드 웹 아이덴티티en_US
dc.subjectconvenience store Mobile Appen_US
dc.subject편의점 모바일 앱en_US
dc.title편의점 브랜드 웹 아이덴티티 유형에 나타난 구성 요소에 관한 비교 연구 - CU and GS25 모바일 앱을 중심으로en_US
dc.title.alternativeA Comparative Study on the Components of the Convenience Store BrandWeb Identity Type - Focused on CU and GS25 Mobile App -en_US
dc.typeArticleen_US
dc.relation.page1-14-
dc.relation.journal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dc.contributor.googleauthor강희수-
dc.contributor.googleauthor송지성-
dc.relation.code2017019484-
dc.sector.campusE-
dc.sector.daehakCOLLEGE OF DESIGN[E]-
dc.sector.departmentDEPARTMENT OF COMMUNICATION DESIGN-
dc.identifier.pidjssong-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DESIGN[E](디자인대학) > COMMUNICATION DESIGN(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