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6 0

공기업 구성원의 창조역량이 창의적 조직 문화와 창조활동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 관한 연구

Title
공기업 구성원의 창조역량이 창의적 조직 문화와 창조활동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Empirical Study on the Influence of Creation Capacity of Public Employees on Organizational Culture and Creative Activities
Author
김상수
Keywords
공기업; 창조역량; 창조활동; 창의적 조직문화; public enterprise; Creation capacity; Creative activity; Organizational culture
Issue Date
2017-06
Publisher
한국경영교육학회
Citation
경영교육연구, v. 32, No. 3, Page. 21-46
Abstract
[연구목적] 본 연구는 조직구성원의 창조역량과 조직문화, 창조활동과의 관계에 있어 어 떠한 영향관계가 있는 지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선행연구들을 기초로 창조경영, 창조역량, 조직문화, 창조활동에 대하여 정의 하였고, 이들 간에 어떠한 영향관계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가설을 설정하였다. 공기 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에 대하여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토하였 고,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창조역량과 창조활동 간의 영향관계를 살펴보면, 직원의 창조역량이 창조활 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변수라는 것을 확인하였고, 간부의 창조역량이 창조활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변수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조직문화와 창조활동과의 관계 에서도 조직문화는 창조활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변수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구성원의 창조역량과 조직문화 변인간의 곱으로 만들어진 상호작용항 중에서 직원의 창 조역량 변인은 조절효과가 존재하지 않지만, 간부의 창조역량 변인은 조절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연구의 시사점] 실무적 시사점으로는 구성원의 창조역량이 조직문화와 창조활동에 영 향을 준다는 사실을 확인함으로써 공기업을 비롯한 많은 기업에서는 조직구성원의 창조 역량을 높일 수 있는 시스템과 교육제도 마련이 필요하며, 학술적 시사점으로는 조직문화 가 간부의 창조역량과 창조활동 관계에서 있어 조절효과가 있음을 실증을 통해 확인함으 로써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rganizational culture creativity and creative capacity of organizational members. [Methodology]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es, we have defined the creative management, creativity capacity, organizational culture, and creative activity, and set up six hypotheses to see what kind of influence there is between them. The data were collected for public corporations,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collected data were examined, and the hypothesis was verified by analysi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Findings] We confirmed that the creative capacity of the staff is a positive influence on the creative activity and confirmed that the creative capacity of the executive is a positive influence on the creative activity.Also,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and creative activity, it is confirmed that organizational culture has a positive effect on creative activity.On the other h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executive creativity variable had a moderating effect. [Implications] Many corporations, including public corporations, need to establish a system and education system that can enhance the creativity of organizational members. The academic implications are to demonstrate that organizational culture has a moderating effect in relation to creative capacity and creative activity of executive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URI
http://scholar.dkyobobook.co.kr/searchDetail.laf?barcode=4010025786847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03435
ISSN
1598-8651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BUSINESS AND ECONOMICS[E](경상대학) > BUSINESS ADMINISTRATION(경영학부)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