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98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성한-
dc.date.accessioned2019-05-03T02:01:07Z-
dc.date.available2019-05-03T02:01:07Z-
dc.date.issued2017-05-
dc.identifier.citation대한환경공학회지, v. 39, No. 5, Page. 288-302en_US
dc.identifier.issn1225-5025-
dc.identifier.issn2383-7810-
dc.identifier.uri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07200666-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03293-
dc.description.abstract퇴적물이 수층의 영양염 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서 퇴적물의 용출률을 정확하게 측정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 퇴적물 용출률 측정 방법 중 퇴적물 코어 배양법을 대상으로 용출률의 측정 조건과 실험 절차를 제시하였다. 낙동강 수계 중류에서 2015년 7월에 표층이 교란되지 않은 퇴적물 코어 시료를 채취하여, pre-incubation 시간(6, 12, 24시간), 초기 산소농도(포화도 90, 70 50%), 확산경계층의 두께(0, 0.6-0.8, 1.2-1.4 mm), 배양 온도(10, 17, 20, 25℃) 등을 여러 가지 조건으로 조성하여 측정한 영양염 용출률의 결과를 그 바탕으로 하였다. 네 가지 주요 환경 조건이 달라지면, 안정화 시간 동안 유기물 분해 및 산화 과정에 의한 화학 조성 변화, 퇴적층의 산화-환원 환경 변화에 따른 흡착 및 탈착, 퇴적물-수층경계면에서의 수리역학적 상황 변동에 의한 물질 교환 증감, 퇴적물 내 미생물의 활성 증가 등을 야기하여 퇴적물의 영양염용출률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퇴적물 코어 배양법으로 실제 현장값과 유사한 결과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현장 심수층의 수온 및 용존산소 농도, 유속을 자연 상태와 가깝게 재현하고 퇴적물 시료 채집 후 되도록 빠른 시간 안에 배양 실험을 수행해야 한다. 두 개의 반복구에 대하여 퇴적물 코어 배양법으로 영양염 용출률을 측정하였을 때 대부분의 실험 조건에서 상대 백분율차가 20% 이하였다. 측정 조건과 절차를 엄밀히 준수하여 실험하였을 때 정밀도를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향후 측정 결과의 정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현장 측정법과 비교할 예정이다. Accurate measurement of benthic nutrient fluxes (BNF) is a prerequisite for evaluating the effect of sediments on nutrient cycle in the surface water. The intact sediment cores were collected in July 2015 at the midstream of Nakdong River. We identified pre-incubation time (6, 12, 24 hr), dissolved oxygen concentration (90, 70, 50% saturation), diffusive boundary layer thickness (0, 0.6-0.8, 1.2-1.4 mm), and incubation temperature (10, 17, 20, 25℃) as the most important control factors, and measured the BNF fluctuation with the variation of these factors using the laboratory sediment core incubation method. Since the chemical composition, redox condition, hydrodynamic regimes and microbial activities at the sediment-water interface were changed as a result of the alteration of control factors, sediment core incubation should be conducted under as close to the natural conditions of study site as possible, in order to produce the results similar to actual values. Relative percentage differences between two replicates were below 20% in most control factors, which showed satisfactory precision for strict compliance with the experimental conditions and procedures. In the further studies, we will compare the results of core incubation with those of in situ measurements to confirm the accuracy of the sediment core incubation method.en_US
dc.language.isoko_KRen_US
dc.publisher대한환경공학회en_US
dc.subjectInorganic Nutrienten_US
dc.subjectBenthic Fluxen_US
dc.subjectSediment Core Incubationen_US
dc.subjectFreshwater Sedimentsen_US
dc.subject영양염en_US
dc.subject저층 용출en_US
dc.subject퇴적물 코어 배양법en_US
dc.subject담수 퇴적물en_US
dc.title담수 퇴적물의 영양염 용출 측정 방법에 관한 고찰en_US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Measurement Method for Benthic Nutrient Flux in Freshwater Sedimentsen_US
dc.typeArticleen_US
dc.relation.no5-
dc.relation.volume39-
dc.relation.page288-302-
dc.relation.journal대한환경공학회지-
dc.contributor.googleauthor김경희-
dc.contributor.googleauthor김성한-
dc.contributor.googleauthor진달래-
dc.contributor.googleauthor허인애-
dc.contributor.googleauthor현정호-
dc.relation.code2017019169-
dc.sector.campusE-
dc.sector.daehakRESEARCH INSTITUTE[E]-
dc.sector.departmentINSTITUTE OF OCENA AND ATMOSPHERIC SCIENCES-
dc.identifier.pidshkim1778-
Appears in Collections:
RESEARCH INSTITUTE[E](부설연구소) > INSTITUTE OF OCENA AND ATMOSPHERIC SCIENCES(해양ㆍ대기과학연구소)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