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5 0

스낵컬처 시대의 무용콘텐츠 가능성 탐색: 문화예술콘텐츠 전문가를 통한 웹 동영상 분석을 중심으로

Title
스낵컬처 시대의 무용콘텐츠 가능성 탐색: 문화예술콘텐츠 전문가를 통한 웹 동영상 분석을 중심으로
Other Titles
Study on the Dance Contents Potential in the Era of Snack Culture: Study on the Dance Contents Potential in the Era of Snack Culture-Focusing on the Analysis of Web Video Clip through Culture and Arts Contents Experts-
Author
백정희
Keywords
스낵컬처; 무용콘텐츠; 모바일; 웹 동영상; 무용의 대중화; Snack Culture; dance contents; mobile; web moving image; popularization of dance
Issue Date
2016-09
Publisher
한국무용연구학회
Citation
한국무용연구, v. 34, No. 3, Page. 127-149
Abstract
이 연구는 모바일 무용영상 콘텐츠 현황과 전문가들의 인터뷰를 분석하여 무용현장에 능동적인 변화와 그 영역의 확장을 기대해 보고, 스낵컬처 시대에서 무용의 대중화를 도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경력 10년 이상의 문화예술 콘텐츠 제작 운영진 3명과 무용교육자 3명을 선정하였다. 인터뷰 내용은 전현주, 신현욱(2013)을 참고하여 초안을 만들고 무용전문가 집단의 회의를 통해 작성하였다. 문화예술 콘텐츠 실무자와의 인터뷰는 총 3주간, 1회 2시간을 기준으로 무용콘텐츠에 관한 인식 및 견해를 심층면담을 통해 심도 있게 알아보았다. 무용콘텐츠의 현황에 대한 자료는 이용자 점유율이 높은 웹 사이트 3개를 선정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무용콘텐츠의 한계와 문제점은 첫째, 문화산업시스템, 시장상황, 문화콘텐츠 기획자/매개자의 무관심과 둘째, 혼종을 수용하지 않는 일부 무용계의 시각, 셋째, 상업적인 성공을 이루기 위한 토대가 아직은 미흡하다는 점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basic information for promoting the popularization of dance in the era of Snack Culture with an expectation of active changes in the field of dance along with its expansion by analyzing the present condition of mobile dance video clip contents based on experts interviews. As for the study presents agreements accessable of dance contents, interview with experts were conducted in addition to analyzing web video clip data. As for the limitation and issues of dance contents, they are first, cultural industry system, market condition, cultural contents planner/mediator`s indifference, second, the perspective of certain circumstances of dance that consider mixing dance and popular dance as a degrading and third, insufficient foundation for achieving commercial success. Accordingly, it would be necessary to improve the contents industry environment and market condition in addition to making conscious and obligatory efforts by the dance circumstances. In addition, a new leap and advancement in the area of dance would be needed to improve communication as the general public transform into active dance consumers instead of those involved in dance & arts for the dance contents in the era of snack culture.
URI
http://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3471317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02693
ISSN
1975-8502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SPORTS AND ARTS[E](예체능대학) > ETC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