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64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송지성-
dc.date.accessioned2019-04-16T00:29:14Z-
dc.date.available2019-04-16T00:29:14Z-
dc.date.issued2015-12-
dc.identifier.citation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 21, No. 4, Page. 297-307en_US
dc.identifier.issn1598-6497-
dc.identifier.uri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06577701-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01994-
dc.description.abstractThis paper has purpose to explain to reveal the possibility of plans to improve microbial contamination of cosmetics through the convergence of technology and design. It suggests design from the case studies about convergence technology and design of cosmetics because cosmetic container has some problem with the microbial contamination from ‘Hand touching’.Therefore, This problem need to figure out the idea of minimize the touching when consumer wears make up. The content and range of this study find out the problem from basic analysis and factor of microbial contamination of cosmetics and container in use. For this reason, It suggest the minimize of cosmetic container design after make up and use with hand. The method of study is comparative analysis techniques applied in the case study of cosmetic containers in oder to suggest after make up. Also it need to analysis data from professional journals, information from internet, D/B, network discovery papers and books such as publications. According the result of the studies are : First, analysis a basis of study about convergence design and technology of cosmetic containers when it has some problem with microbial contamination. Second, after cosmetic use, experiments with a basic material for microbial contamination. For the test of microbial contamination from cosmetic after make up, microbial contaminations have higher problem from temperature, frequency of use, antiseptic treatment. Third, It find out the role and trend of cosmetic package for improving from microbial contamination. The case studies are ‘vibration’, ‘transmission’. These has technology with cosmetic container when consumer uses easy to remove and make up. This study suggest and analysis from three proposals for future research. First is the second contamination, second is design of shape from container, third is tool of make up. These are necessary to develop containers capable of minimizing microbial contamination through them. Therefore, this study recognizes the importance of consumers due to the contamination in their lives ‘sterilization’. Cosmetics essentials necessary for life as air and contact discharge by the bacterial infection is easily accessible. It needs to research ways to improve upon the design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through the problems. 본 논문은 화장품의 미생물 오염 개선을 위한 방안을 기술과 디자인 융합 사례를 통해 가능성을 밝히고자 한다. 화장품의 미생물 오염 원인인 2차 오염 중 ‘손’접촉을 최소화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와 기술을 결합한 화장품 용기 사례 바탕으로 디자인 제안 한다. 연구 범위는 화장품의 미생물 오염에 대한 이론적 고찰로 화장품 용기에 대한 이해와 미생물 오염원인, 화장품의 미생물 오염 기초 실험 분석 통하여 심각성을 밝히고자 한다. 이를 통해 화장품 사용 후 ‘손’접촉을 최소화한 화장품 용기 사례를 분석하여 디자인 제안 시 반영하도록 한다. 연구 방법은 향후 연구 과제를 제안하기 위해 화장품 용기에 적용한 기술 사례를 비교 분석한다. 인터넷을 이용한 국내외 정보 D/B 및 네트워크 검색, 논문과 단행본을 포함한 도서ㆍ출판물 등 문헌조사를 통한 고찰 및 분석하였다. 연구의 내용과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용 일상 필수품인 ‘화장품’의 미생물 오염개선을 위한 방안을 기술과 디자인을 융합한 연구기반으로 모색하는데 의의를 두고자 한다. 둘째, 화장품 사용 후 미생물 오염 발생에 대한 기초 실험 자료를 통해 심각성을 밝히고자 한다. 실험 대상인 화장품 중 미생물 오염도 측정 시 저장온도, 사용빈도, 보존제 유무 등으로 ‘립스틱’이 미생물 오염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립스틱’ 대상으로 디자인 제안 시 향후 연구에 반영할 것이다. 셋째, 화장품의 미생물 오염 개선을 위해 화장품 패키지의 역할과 트렌드에 대해 알아본다. 사례는 화장품 용기에 적용한 ‘진동’, ‘전동’ 조사하였다. 마지막으로 분석을 통해 향후 연구로 디자인 제안시 세 가지를 구분하였다. 첫째 2차 오염, 둘째 용기 형태, 셋째 화장 도구 이다. 세 가지를 통하여 미생물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는 용기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생활에서 환경오염으로 인하여 소비자들이 ‘살균’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다. 화장품도 생활에 필요한 필수품으로써 공기, 접촉, 분비물에 의해 세균감염이 쉽게 접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이론과 사례를 통해 향후 연구에 디자인 제안 시 개선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en_US
dc.language.isoen_USen_US
dc.publisher한국디자인문화학회en_US
dc.subjectmicrobial contaminationen_US
dc.subjectCosmeticen_US
dc.subjectContainer Designen_US
dc.subjectTechnologyen_US
dc.subject미생물 오염en_US
dc.subject화장품en_US
dc.subject용기디자인en_US
dc.subject기술en_US
dc.title미생물 오염 개선을 위한 화장품 용기 사례 분석en_US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Analysis as a Case Study for the Cosmetic Container through the improvement Cosmetic’s Microorganism Pollutionen_US
dc.typeArticleen_US
dc.relation.no4-
dc.relation.volume21-
dc.relation.page297-307-
dc.relation.journal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dc.contributor.googleauthor송지성-
dc.contributor.googleauthor배은혜-
dc.relation.code2015041239-
dc.sector.campusE-
dc.sector.daehakCOLLEGE OF DESIGN[E]-
dc.sector.departmentDEPARTMENT OF COMMUNICATION DESIGN-
dc.identifier.pidjssong-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DESIGN[E](디자인대학) > COMMUNICATION DESIGN(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