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5 0

디자인발상지원요소와 그 수용결과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 에스키스 조형요소 분석을 중심으로 -

Title
디자인발상지원요소와 그 수용결과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 에스키스 조형요소 분석을 중심으로 -
Other Titles
A Study on Correlation between Design Conception Support Factor and Result of Acceptance – Evidence from Esquisse Formative Factor Analysis -
Author
한정완
Keywords
디자인교육; 에스키스 요소 분석; 발상지원; 연습효과 설계; Design Education; Esquisse Factor Analysis; Conception Support; Practice Effect Design
Issue Date
2015-12
Publisher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Citation
한국과학예술포럼, v. 22, Page. 185-195
Abstract
본 연구의 배경 및 목적은 다음과 같다. 디자이너들은 발상 스케치 진행시, 관념이나 경험의 범주에서 형상을 떠올리거나, 의도적으로 조형이미지를 탐색하고 이를 디자인 조형요소로 적용하기 때문에 디자이너개인의 성향과 관심영역에 따라 편향적 결과물을 도출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디자이너의 감성과 레퍼런스 이미지의 응용으로 그치지 않고, 그들의 특성에 따라 각기 다른 발상지원 요소를 제공하여 다양한 형상을 검토하고, 이를 기존의 개인 편향적 결과물이 아닌발상지원 요소가 수용된 결과물을 도출 해낼 수 있는방법을 찾아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 및 내용,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발상지원에 필요한 유형을 텍스트정보와 이미지정보로 분류하고 제시용 샘플을 구성하였으며, 각각의 발상지원 유형을 수용한 총 3개 그룹의 피실험군이 스케치를 통해 조형 요소를 전개하도록 하였다. 그 후 실험결과를 분석하기 위해 형태 전개 분석용 매트릭스를 구성하여 측정하였다. 형태 매트릭스 측정을 위한 구성 요소는 점, 선 등의 1차원 형상과 원, 사각형등 평면적 요소의 2차원 형상 및 기타 3차 입체형상으로 분류하였다. 스케치 실험 결과물을 통해 형태 사용 빈도를 측정하였고 그룹별 비교 분석을 위해 오차범위를 줄여 평균값을 산출하는 엑셀의 ‘TRIMMEAN’1)함수를 이용, 이를 토대로 그래프를 작성하였다. 이를 통해 모든 그룹이 전반적으로 이미지정보 제시에 비해 텍스트정보 제시에서 다소 높은 형태 전개 양상을 보여주었으며, 1차원에서 2차원을 거쳐 3차원의 조형 요소를 도출하는 과정에서 그 사용 빈도가 점차줄어드는 현상을 찾아낼 수 있었다. 13가지의 형태 요소 중 유독 직선, 원, 사각형, 원기둥 및 직·정육면체의 사용 선호도가 높았으며, 이는 피실험자의 형태 경험도가 원과 사각형에 머물러 있다는 것을 입증하는 결과로 판단되었다. 또한 모든 그룹이 1차원에서 2차원을 거쳐 3차원으로 갈수록 전개의 폭이 감소한다는 의미는 스케치 초기 단계에서 다양한 형상을 검토할지라도 결국 개인의 편향적이고 선호지향적인 조형요소를 도출한다는 결론을 내렸다. When proceeding with idea sketch, designers may derive biased results depending on designer’s personal inclination and interest area because they come up with the shape in the category of ideas and experiences or explore a formative image deliberately and apply it as a design formative element. Therefore, rather than being limited to the application of reference images and designer’s sensibility, we will have to find a way to review a variety of shapes by providing different idea support elements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and derive the results accepting idea support elements not existing personal biased results. This study classified the types needed for idea support into text information and image information and configured samples for presentation and allowed a total of three subject groups accepting each idea support type to develop a formative element through the sketch. And then, a matrix for the form development analysis was configured and measured in order to analyze the experimental results. Components for measuring the form matrix were classified into 1-D shapes such as points, lines etc. and 2-D shapes of planar elements such as circles, squares etc. and other 3-D shapes. The shape use frequency was measured through the sketch experiment results and a graph was created based on ``TRIMMEAN`` function of Excel to calculate the average value by reducing the error range for comparative analysis by group. Through this, we could find a phenomenon that all groups showed a somewhat higher development pattern in the text information presentation compared to image information presentation and the use frequency is gradually reduced in the process of deriving 3-D formative elements through 1-D and 2-D. Of 13 kinds of form factors, the use preference of straight lines, circles, rectangles, cylinders and rectangular parallelepiped· regular hexahedrons was especially higher and this was determined to be a result of proving that the form experience of the subject remains in circles and squares. Also, the width of development of all groups is reduced towards 3-D through 1-D and 2-D and it means that even if reviewing a variety of shapes in the initial stage of sketches, personal biased and preferred oriented formative elements are derived.
URI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06585521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01993
ISSN
2005-1409
DOI
10.17548/ksaf.2015.12.22.185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DESIGN[E](디자인대학) > TECHNO-PRODUCT DESIGN(테크노프로덕트디자인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