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64 0

종합일간지 편집국장의 편집권에 대한 인식 연구: 10개 일간지 전ㆍ현 편집국장을 대상으로

Title
종합일간지 편집국장의 편집권에 대한 인식 연구: 10개 일간지 전ㆍ현 편집국장을 대상으로
Other Titles
A Study on the Awareness over the Editing Rights of Managing Editors for General Daily Newspapers : Analyzing Current and Former Managing Editors for 10 Daily Newspapers
Author
김정기
Keywords
편집권; 편집권 독립과 자율성; 편집국장; 저널리즘의 가치; editing rights; independence and autonomy of editing rights; managing editors; values of journalism
Issue Date
2015-12
Publisher
한국언론학회
Citation
한국언론학보, v. 59, No. 6, Page. 165-186
Abstract
신문 위기 심화로 종합일간지 편집국장은 이중적인 위치에 놓여있다. 일선 신문 제작 현장의 책임자인 동시에 경영 부문에서도 일정 정도의 역할을 주문받고 있다. 언론의 공적 기능 수행과 기업으로서의 이윤 추구라는 상반된 요구 사이에서 아슬아슬한 줄타기를 하는 상황이다. 이 연구는 이런 현실 속에서 편집국장은 편집권의 독립과 자율성에 대해 어떤 인식을 갖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됐다. 이를 위해 10개 종합일간지 전ㆍ현직 편집국장 14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했다. 연구 결과 편집국장은 신문 제작에 실질적 권한을 행사하며 편집인보다 권한이 더 크다고 생각했다. 편집권 침해와 관련해서는 대기업을 중심으로 한 광고주로부터의 압력이 갈수록 커지지만 경영적 측면을 감안하면 현실적으로 불가피하다는 인식을 가졌다. 사주나 경영진의 편집권 침해도 상시적으로 이뤄지며 외부 이익단체로부터의 압력도 점증하는 양상을 보였다. 그러나 기자의 견제 활동은 대체로 제 역할을 하지 못했다. 편집국장은 신문이 위기를 극복하려면 광고자본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고 저널리즘의 가치를 회복해야 한다는 데는 이견이 없었다. 각 연구 문제에 대해 소유 구조나 회사 경영 상태, 신문의 이념적 성격 등에서 다소의 차이가 드러났다. Managing editors for general daily newspapers, who are at a responsible position in producing newspapers are, now being forced to partly play a managerial role. The editors are now struggling with conflicting jobs of the press, as a public medium and as a corporate to make profits. This study examined the awareness of managing editors over the independence and autonomy of their editing rights. We have interviewed with 14 current and former managing editors for 10 general daily newspapers. According to the results, most managing editors thought that they are actually exercising their rights of editing and have greater rights than editor-in-chiefs have. The study also showed that the editing rights are often being challenged by the corporate owners, management and outside interest groups whereas check and balance by journalists are not functioning well. The managing editors agreed that newspapers should restore the values of the journalism in order to overcome the crisis. There were slightly different views over each research issues depending on the structure of ownership, management conditions, and ide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newspapers.
URI
http://www.dbpia.co.kr/Article/NODE06578869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01951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COMMUNICATION[E](언론정보대학) > JOURNALISM & MASS COMMUNICATION(신문방송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