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98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송지성-
dc.date.accessioned2019-04-04T07:44:53Z-
dc.date.available2019-04-04T07:44:53Z-
dc.date.issued2015-09-
dc.identifier.citation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 21, No. 3, Page. 103-114en_US
dc.identifier.issn1598-6497-
dc.identifier.uri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06570818-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01512-
dc.description.abstractThe most emphasized item, as a result of emergence of interest and image centered 3rd generation SNS, is hasg tag(#). Hash tag has rapidly developed into a culture that can be seen in diverse media. As the users" demand to direct for not only just information classification and sharing, but also the to sympathize with the others increased, hash tag had such characterisitics and became major function of 3rd generation SNS. Through Instagram, the representative SNS that produced the explosion of hash tag function, new information is flooding our lives through promotions and sharing. Following such trend, diverse applications have been released. In Instagram, hash tag is the only link for the users. Unlike that, however, the usability of GUI of hash tag in Instagram hasn"t been proved yet. Hash tag only showing the simple result while the users are increasing highlights the weakness of hash tag. Therefore, the accessibility and intuitiveness is worse than other new 3rd generation SNS. Considering the user convenience, if the hash tag GUI of Instagram is developed into more efficient and systematic one, the user can be more comfortable using i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hash tag GUI of previous SNS and 3rd generation SNS and to provide necessary theoretical data for the diretion of future Instagram hash tag GUI design. The method of study is generation analysis of SNS, search of domestic/international database and network using Internet, literature search of books and publications including thesis and books. Also, through the analysis of current situation of the hash tag GUI design, the comparative analysis through graphs and item derivation has been conducted. The content and range of this study has analyzed the changes in SNS generation and explained the ripple effect of Instagram hash tag and drawed the weakness of it. Since then, the GUI structure and pages of four previous SNS and 3 3rd generation SNS that uses hash tag has gone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Through th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future development direction of hash tag GUI of Instagram that can respond to hash tag of future SNS. Moreover, grounding the result of this study, more active improvement plan can be imagined. 관심사와 이미지중심의 3세대 SNS의 탄생을 통하여 가장 크게 부각된 것은 해시태그(#)이다. 해시태그는 여러 매체에서 쉽게 볼 수 있을 만큼 하나의 문화로 급속히 성장하였다. 정보 분류, 공유를 넘어서 공감을 지향하려는 사용자들의 요구에 의해 해시태그도 이러한 특징을 가지며 3세대 SNS에 주요한 기능이 되었다. 해시태그의 기능의 폭발을 낳은 가장 대표적인 SNS인 인스타그램을 통해 홍보, 공유 등 새로운 정보를 쏟아내고 있다. 이를 따라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이 출시되고 있다. 인스타그램에서 해시태그는 유일한 링크이다. 하지만 그와 다르게 인스타그램의 해시태그의 GUI는 아직 사용성이 입증되지 않았다. 또한 사용자가 많아질수록 인스타그램의 해시태그는 구체적이지 않은 단순한 결과만을 출력하는 등의 해시태그로 인한 단점 또한 부각되고 있다. 이로써 앞 다퉈 출시되고 있는 새로운 3세대 SNS들에 비해 접근성 및 직관성 또한 떨어짐을 발견할 수 있다. 이러한 인스타그램의 해시태그를 사용자 편이성을 고려하여 효율적이고 체계적인해시태그 GUI으로 발전시킨다면 사용자에게 더욱 편안한 사용감을 제공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 SNS와 3세대 SNS의 해시태그 GUI를 분석함으로서 향후 인스타그램의 해시태그 GUI디자인의 방향성에 필요한 이론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연구 되어졌다. 연구방법은 SNS의 세대별 분석과, 인터넷을 이용한 국내외 정보 D/B 및 네트워크 검색, 논문과 단행본을 포함한 도서⋅출판물 등 문헌조사를 통한 고찰로 진행되어졌다. 또한 해시태그 GUI 디자인 현황분석을 통해 비교 분석을 위한 항목 도출과 그래프를 통한 비교분석으로 연구가 이루어 졌다. 본 연구의 범위와 내용에는 세대별 SNS의 변화를 분석하고 먼저 인스타그램 해시태그의 파급력을 설명하고 단점을 도출해 내었다. 이 후, 해시태그가 적용되어있는 기존 SNS 네 개와 3세대 SNS 세 개의 GUI 구조와 페이지를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새로운 SNS의 해시태그에 대응할 수 있는 인스타그램의 해시태그 GUI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나아가 본 연구를 근거로 더욱 활발한 개선 방안이 나올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en_US
dc.description.sponsorship이 논문은 2015년도 산업통상자원부의 ‘창의산업융합 특성화 인재양성사업’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 (N0000717)en_US
dc.language.isoko_KRen_US
dc.publisher한국디자인문화학회en_US
dc.subjectHashtagen_US
dc.subjectGraphic User Interface Designen_US
dc.subjectSNSen_US
dc.subject해시태그en_US
dc.subject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디자인en_US
dc.subject소셜 네트워크 서비스en_US
dc.subject3세대 SNSen_US
dc.subject3세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en_US
dc.titleSNS의 변화에 따른 해시태그 GUI 디자인 연구en_US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GUI Design of Hashtag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of SNSen_US
dc.typeArticleen_US
dc.relation.no3-
dc.relation.volume21-
dc.relation.page103-114-
dc.relation.journal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dc.contributor.googleauthor김선아-
dc.contributor.googleauthor송지성-
dc.relation.code2015041239-
dc.sector.campusE-
dc.sector.daehakCOLLEGE OF DESIGN[E]-
dc.sector.departmentDEPARTMENT OF COMMUNICATION DESIGN-
dc.identifier.pidjssong-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DESIGN[E](디자인대학) > COMMUNICATION DESIGN(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