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7 0

사투리를 활용한 소주 라벨디자인 연구

Title
사투리를 활용한 소주 라벨디자인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Soju Label Design for Inter-Regional Mutual Exchange of Dialect
Author
송지성
Keywords
Region Communication; Label Design; Dialect; Typography; 지역소통; 라벨디자인; 사투리; 타이포그래피
Issue Date
2015-09
Publisher
한국디자인문화학회
Citation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 21, No. 3, Page. 21-33
Abstract
We now live in the world where using dialects has become a hit. There are numerous contents beyond TV dramas and movies that are related to dialects. Although dialects are only used to display dowdiness, nowadays they are used as a form of language that grasps audiences with their distinctive appeal. Korea also exhibits a trend in which numerous kinds of contents, including voice emoticons for Kakaotalk, are presented as well. Yet, when the authors have examined the trend of dialect usage in Japan, there were several features. First, there were various kinds of dialect contents that allow dialects to be used educationally in interesting ways. Second, there were cases in which dialects are used so that tourists could easily approach dialects as well. Third, there were cases in which dialects are used as usable ideas in terms of recovering from earthquakes. From these, it has been indicated that Korea only uses dialects for entertainment, which means that dialects are not used to provide support for regional development. This study has applied dialects to types of soju that were being produced in different regions. Types of soju, a representative liquor of Korea, that are being produced in different regions serve as the important factor of communication among people. Yet it has been indicated that most designs of labels of soju do not represent the distinctiveness of different regions and provinces. Among methods that target 20s and 30s who do not know much about dialects or regional cultures, SNS is used as a type of research which used dialects so that they could be shared and used for harmony and communication. If short phrases using dialects that represent harmony and communication, such as “Ain’t we not together?", are used as typography designs of soju with the emphasis of rhythms of dialects being visually used, dialects and regional cultures could be more effectively promoted to the young generation. As dialects are important cultural resources, using them as cultural contents or cultural products may not only provide fun and delight but also economic benefit.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to show that, if label designs of soju are distinctively created by using distinct characteristics of regions with special care and effort, dialects can be mutually exchanged,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cultures of different regions can be known so that they could dedicate to increasing regional activation in positive ways. 지금은 바야흐로 사투리 전성시대다. 드라마, 영화를 넘어서 사투리와 관련된 수많은 콘텐츠가 쏟아지고 있다. 사투리의 구수하고 진한 매력이 스크린을 넘어 안방극장까지 점령하고 있다. 과거에는 촌스러움을 나타내는 장치에 불과 했지만, 최근에는 사투리의 걸쭉한 매력이 대중을 사로잡으며 주요 언어로 사용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영화나 드라마를 넘어 카카오톡 이모티콘 음성출시 등 사투리와 관련된 수많은 콘텐츠가 쏟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일본의 사투리 활용 실태를 살펴본 결과 일본에서는 첫째, 사투리를 재미있게 익힐 수 있는 교육적으로 활용 가능한 사투리 콘텐츠가 다양화 되고 있었다. 둘째, 관광객들에게도 쉽게 접할 수 있도록 사투리를 활용한 사례도 있었다. 셋째, 지진 피해와 복구와 관련하여 아이디어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일본의 사투리 활용도 조사됐다. 이렇듯 우리나라는 사투리를 그저 재미의 요소로만 생각하여 사투리를 활용함으로써 지역발전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점이 있음이 분석되어졌다. 본 연구는 지역별로 생산되고 있는 소주에 사투리를 접목시켰다.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주류인 지역별로 생산되고 있는 소주는 소통의 장으로써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지역별로 생산되는 소주 라벨디자인의 대부분은 지역의 특색을 표현하고 있지 않는 실정이다. 아직 사투리를 알지 못하고 지역문화에 대해 알지 못하는 20~30대를 타켓으로 하여 수많은 사투리 중에서 SNS는 물론 인터넷 포털에서 많은 이들에게 공유되며 인기를 끈 화합과 소통에 관련된 사투리를 활용한 연구이다. ‘우리가 남이가?’와 같은 짧지만 화합과 관련된 사투리를 지역별로 생산되는 소주타이포그래피 디자인에 사투리의 운율을 시각적으로 디자인하여 적용한다면 좀 더 효과적으로 젊은이들에게 사투리와 지역문화를 알릴 수 있을 것이다. 사투리는 중요한 문화 자원이고 이를 문화콘텐츠화 하거나, 문화상품화 하면서 재미와 즐거움을 줄 뿐 아니라 경제적 이득도 얻을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본 연구는 지역특색을 활용하여 소주 라벨디자인을 차별화된 디자인으로 도입하고 세심한 노력을 기울인다면 사투리를 상호교류 할 수 있고, 지역의 특색과 문화를 알리며 지역정서 완화에 긍정적 측면으로 지역 활성화를 향상시키는데 큰 기여를 할 것이라고 본다.
URI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06570811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01511
ISSN
1598-6497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DESIGN[E](디자인대학) > COMMUNICATION DESIGN(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