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6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상수-
dc.date.accessioned2019-03-19T00:10:33Z-
dc.date.available2019-03-19T00:10:33Z-
dc.date.issued2015-06-
dc.identifier.citation브랜드디자인학연구, v. 13, No. 2, Page. 53-66en_US
dc.identifier.issn1738-0863-
dc.identifier.urihttp://www.earticle.net/Article.aspx?sn=249352-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00958-
dc.description.abstractCity brand in 1995, the Local Government Act amended since the personality and character of the city in the municipality, the city has emerged as a marketing tool that represents the future vision. However, the initial development of the city brand was simply a trademark and visual design element. This does not build a city governance and interconnectedness elected suddenly appeared or disappeared by the heads of administrative departments rely on the phenomenon change. This is what happened in the absence of an overall understanding and awareness of the city brand. City brand is a past, present and future tangible and intangible assets with memories and images of the city which includes the city and the only reason for existence is to have creative value provided to the various stakeholders. This study is beyond the limits of the city as a means of brand marketing was seeking temporary city cognitive transition of city branding as a strategic vision and future of the city. To this end, the City brand leading research and proposed a creative city branding process through the city brand building system case studies. City brand concept presented in this study will help to form a consensus about the future city brand. In addition, the process of building Pocheon city brand system is expected to be utilized as a strategic brand management plan for domestic cities. Now the city brand is necessary cognitive transition that city branding, creative innovation process to achieve the future vision and identity of the city as a strategy rather than a marketing tool. This will establish the overall city brand portfolio strategy through the city Brand building systems and promote an environment of creative branding the organization to develop the creativity of the city. 한국어도시브랜드는 1995년 지방자치법이 개정된 이래로 지방자치단체에서 도시의 개성과 특성, 미래의 비전을 나타내는 도시마케팅 수단으로 부각되었다. 그러나 초기의 도시브랜드는 단순히 상표와 시각 디자인 요소로 개발되었다. 이로 인해 도시 거버넌스와 상호연관성을 구축하지 못하고 민선단체장 의지에 의해 갑자기 사라지거나 관리부서가 바뀌는 현상이 나타났다. 이것은 도시브랜드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인식의 한계에서 발생한 일이다. 도시브랜드는 과거와 현재, 미래의 기억과 이미지가 포함되어 있는 도시의 유․무형 자산으로 그 도시만이 갖고 있는 존재의 이유이며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에게 제공하는 창의적인 가치이다. 본 연구는 도시브랜드가 한시적인 도시마케팅의 수단으로서의 한계를 넘어 도시의 비전이자 미래 전략으로서 도시브랜딩이라는 인식적 전환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도시브랜드 선행연구를 하고, 도시브랜드 체계구축 사례 연구를 통해 창의적인 도시브랜딩 과정을 제시하였다. 이번 연구에서 제시한 도시브랜드 개념은 향후 도시브랜드에 대한 공감대 형성에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포천시 도시브랜드 체계 구축의 과정은 국내 도시들의 전략적 브랜드 관리 방안으로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제 도시브랜드는 마케팅 수단이 아닌 전략으로 도시의 정체성과 미래비전을 실현하는 창조적 혁신 과정의 도시 브랜딩이라는 인식적 전환이 필요하다. 이는 도시브랜드 체계구축을 통해 총체적인 도시브랜드 포트폴리오전략을 수립하고 창의적인 브랜딩 조직의 환경을 도모하여 도시의 창조성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en_US
dc.language.isoko_KRen_US
dc.publisher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en_US
dc.subject도시브랜딩en_US
dc.subject도시브랜드en_US
dc.subject도시브랜드전략en_US
dc.subjectCity Brandingen_US
dc.subjectCity Branden_US
dc.subjectCity Brand Strategyen_US
dc.title도시 비전과 전략으로서 도시브랜드 활용방안 연구 - 경기도 포천시 사례를 중심으로 -en_US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Utilizing City Brand as a City Vision and Strategy - In the City Brand of POCHEON -en_US
dc.typeArticleen_US
dc.relation.no2-
dc.relation.volume13-
dc.relation.page53-66-
dc.relation.journal브랜드디자인학연구-
dc.contributor.googleauthor박혜영-
dc.contributor.googleauthor김상수-
dc.relation.code2015041226-
dc.sector.campusE-
dc.sector.daehakCOLLEGE OF BUSINESS AND ECONOMICS[E]-
dc.sector.departmentDIVISION OF BUSINESS ADMINISTRATION-
dc.identifier.pidsski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BUSINESS AND ECONOMICS[E](경상대학) > BUSINESS ADMINISTRATION(경영학부)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