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42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안신원-
dc.contributor.author이병준-
dc.date.accessioned2019-02-28T03:25:01Z-
dc.date.available2019-02-28T03:25:01Z-
dc.date.issued2019-02-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00367-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5450en_US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국내 스포츠 전문 박물관의 유형별 분석을 통해 국내 스포츠 박물관의 특징을 확인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현대 사회에서 스포츠는 하나의 문화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그 수요와 소비, 관심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과거에 대한 관심과 문화 향유에 대한 욕구가 박물관의 증가와 발달로 이어졌듯이 스포츠 전문 박물관에 대한 수요 또한 증가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기대와는 달리 국내에 스포츠 전문 박물관은 설립된 지 약 30년여 년이 지난 현재 일반 박물관의 폭발적인 성장에 비하면 제자리걸음이라 할 수 있다. 스포츠 전문 박물관에 대한 연구 또한 공간에 대한 활성화 연구에 집중되어 있어서 스포츠 전문 박물관 자체에 대한 연구는 일반 박물관에 비하면 매우 부족하다. 본 연구는 국내 스포츠 박물관의 특징을 확인하기 위해 먼저 스포츠 박물관의 유형별 분류를 시도하여 총 12곳의 스포츠 전문 박물관은을 통합적, 기업적, 지역적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운영주체, 공간형태, 설립배경, 전시품 구성, 관람객 다섯 가지 측면을 통해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운영주체 측면에서는 사립으로 운영되는 곳이 거의 없는 국공립 위주의 운영이라는 특징과 연도별 비교를 통하여 규모가 증가하고 있다는 특징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공간형태 면에서는 스포츠라는 주제와 관련 없는 장소에 위치한다는 특징이 확인된다. 전시 측면에서는 정보의 단순화를 통한 사물지향적 전시와 체험전시의 제한적 활용이라는 특징이 나타난다. 이러한 점 모두 설립주체에서 비롯된 것으로 설립주체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는 것 또한 스포츠 박물관의 큰 특징이라 할 수 있다. 한편, 박물관에 대한 평가 및 재방문은 관람객 만족도에 의해 결정된다. 만족도는 전시 몰입도에 영향을 받는다. 스포츠라는 주제의 특성상 스포츠 박물관은 관람객의 효과적인 몰입을 위해 역사성과 장소성이 요구된다. 하지만 국내 스포츠 박물관의 특징을 보면 여러 측면에서 적합하지 않은 모습을 보인다. 스포츠 박물관의 개념조차 명확하지 않은 국내에서 스포츠 박물관이 일반 박물관에 비해 모든 부분이 부족한 건 당연한 것이다. 하지만 기본적인 박물관 내 콘텐츠 부족과 스포츠 박물관 일반적으로 요구되는 장소성에 부합되지 않는 것은 국내 스포츠 박물관의 전반적인 문제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단편적 방법으로 체험형 전시의 활용이 있지만, 장기적인 측면에서 스포츠 박물관 자체와 스포츠라는 주제의 전시, 콘텐츠에 대한 심도 있고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domestic sports museum by analyzing it by type. In modern society, the demand, consumption, and interest of sports have steadily increased to the point that it is a culture. Just as interest in the past and a desire for cultural recreation have led to the increase and development of museums, demand for sports museums will also increase. Contrary to these expectations, however, it is still a step closer to the explosive growth of the general museum now, about 30 years after it was established here. Research into sports museums is also focused on the activation of space, so the study of the sports museum itself is very poor compared to that of the general museum. In order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domestic sports museum, the study first attempted to classify a total of 12 sports museums into three types: integrated, corporate and local. Further, the analysis was carried out through five aspects: the main body of operation, the space type, the background of the establishment, the composition of exhibits. As a resul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operating entity, it was able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national and public-oriented operations with few privately operated locations and the increasing scale through annual comparisons. In terms of spatial form, the characteristics of the location are found not related to the subject of sports. On the display side, the object-oriented exhibition and the limited use of the experience exhibition are characterized by the simplification of information. All of these are attributed to the founding fathers and greatly influenced by the founders, which is also a big feature of the sports museum. On the other hand, the evaluation and revisit of the museum is determined by the viewer satisfaction. Satisfaction is influenced by wartime immersion. Due to the nature of the theme "Sport," a sports museum needs history and place in order to attract visitors effectively. However, the features of the domestic sports museum show that it is not suitable in many ways. In Korea, where the concept of a sports museum is not even clear, it is no wonder that it lacks all parts of it compared to a regular museum. However, lack of content in basic museums and lack of location in sports museums generally do not fit in is a general problem with the nation's sports museums. Although there is a use of experimental exhibits as a means to solve this problem, in the long run, in-depth and continuous research is needed on the display of the sports museum itself and the subject of the sports.-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한국 스포츠 박물관의 전시 및 특성 연구-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이병준-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대학원-
dc.sector.department문화인류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affiliation고고미술전공-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CULTURAL ANTHROPOLOGY(문화인류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