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72 0

창의적 사고 인식을 활용한 대학 실용무용 교육과정 체계 연구

Title
창의적 사고 인식을 활용한 대학 실용무용 교육과정 체계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system of curriculum for University Practical Dance using creative thinking
Author
안지형
Alternative Author(s)
An, Ji hyoung
Advisor(s)
김운미
Issue Date
2019-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본 연구는 융복합 시대의 새로운 흐름으로 실용무용 교육과정에 대한 미래연구 자료로써 창의적 사고 인식을 기반으로 올바른 교육 가치에 기초를 둔 대학 실용무용 교육과정 체계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현재 실용무용 계열 대학과정에 재학 중인 학생들의 교육과정에 대한 과목개선, 지도유형, 창의적 사고 인식, 수업만족도, 수업개선 인식의 차이와 상관관계를 조사하고 이 요인들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한 후 대학 실용무용 교육과정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무용학계 및 실용무용계 전문가들의 의견을 조사 · 분석한 자료들의 교차 연구를 통하여 대학 실용무용 교육과정 체계의 올바른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설문조사는 서울 경기 내에서 대학 실용무용 교육과정을 개설하여 진행하고 있는 7개 학교 330명의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무선 표집을 활용한 방법을 활용하여 자기평가 기입법(self-administration method)으로 진행 하였고, 전문가 대상 델파이 조사는 무용학계 전문가, 무용교육 전문가, 실용무용교육 전문가, 실용무용 현장 전문가로 총 15인을 선정하여 전문가 협의 집단을 구성하고 전문가 회의, 설문지, 이메일을 통해 답신, 회신하는 방법으로 총 2차례에 걸쳐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 과정들을 통해 얻은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설문조사 결과로는 첫째, 대학 실용무용 학생들의 과목 인식 요인의 차이는 수업방법 요인에서는 남자가 여자보다 높게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났으며, 수업목표 요인에서는 재즈댄스 전공 학생들과 창의적 교육 필요성 인식에 긍정적으로 대답한 학생들의 인식이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났다. 둘째, 대학 실용무용 학생들의 지도유형 인식 차이는 민주적 요인, 사회적 지지요인, 긍정보상 요인 모두 남자가 여자 보다 높게 나타났다. 셋째, 대학 실용무용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 인식의 차이는 남자가 여자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전공에 따른 창의적 사고 인식 차이를 분석한 결과로는 코레오그라피 전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넷째, 대학 실용무용 학생들의 성별에 따른 수업만족도 인식 차이를 분석한 결과 교육만족, 사회만족, 심리만족, 환경만족, 휴식만족 모두 남자가 여자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창의적 교육 필요성 인식에 따른 수업만족 인식 차이를 분석한 결과 창의적 교육 필요성 인식에 긍정적으로 대답한 학생들이 교육만족, 사회만족, 심리만족, 환경만족, 휴식만족 모두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대학 실용무용 학생들의 학년에 따른 수업개선 인식 차이는 3학년이 가장 높고, 2학년, 1학년, 4학년 순으로 인식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났으며, 성별에 따른 수업개선 인식의 차이는 나지 않았다. 또한 창의적 교육 필요성 인식에 따른 수업 개선 인식의 차이는 창의성 교육 필요성의 긍정적 인식이 88.2%의 수치로 높게 나타났다. 여섯째, 대학 실용무용 교육과정 학생들의 과목인식, 창의적 사고가 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과목인식과 창의적 사고는 수업만족도에 대부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대학 실용무용 교육과정 학생들의 창의적 교육 필요 인식, 수업만족도, 수업개선 및 창의적 사고 인식을 활용한 대학 실용무용 교육과정 체계의 요구를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창의적 교육 필요성 인식이 높을수록 수업목표, 지도자유형, 수업만족, 수업개선인식이 모두 높고 통계적으로도 모든 부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났다. 이에 따라 현재 대학 실용무용 교육과정의 참여자들은 대부분 창의적 교육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고, 그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는 참여자들이 보다 더 적극적으로 수업개선 인식을 요구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이것은 참여자들의 대학 실용무용 교육과정 개선에 대한 인식과 더불어 창의적 사고 인식을 활용한 대학 실용무용 교육과정 체계를 연구함에 있어서 참여자들에게 실제적으로 필요한 교육방향에 대한 인식의 요구를 보다 적극적으로 뒷받침 해줄 수 있는 근거로 이해 할 수 있다. 전문가 델파이 조사 결과로는 중요도 평균 4.00을 넘는 적합성을 가진 대분류 항목으로 창의적 사고 인식을 활용한 대학 실용무용 교육과정 체계의 교육계획, 교수법, 교육목표, 교육과정구성, 교과목개설의 5가지 영역으로 나타났다. 첫째, 교육계획은 “전문화된 장르별 기초를 체계화 하고 전공을 바탕으로 다양하고 체계적인 수업을 통해 창의적인 현장 활용 능력을 길러주어야 한다. 또한 실용무용 장르의 이해가 기반이 된 교수진 구성과 함께 보다 더 창의적인 융합 교과목 개설을 계획한다.” 둘째, 교수법은 “실용무용전공 장르에 대한 이해 수반을 중심으로 창의적 교수법 개발을 위해 지속적인 수업 모형을 연구한다. 또한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과의 지속적인 교류를 통해 교수학습 방향을 유기적으로 협력하고 학생들과의 소통을 중심으로 한 교수전달체계를 구축한다.” 셋째, 교육목표는 “전공지식의 체계적 전문성을 바탕으로 창의적인 사고, 대중 친화적 소통능력, 열린 사고를 통해 타 분야와의 융합을 수용해가면서 창의적으로 활동할 수 있는 현장형 전문 무용예술인을 양성한다.” 넷째, 교육과정구성은 “창의적이고 전문적인 현장 활용을 위한 공연제작, 창작실습 등의 다양한 융합형 교육과정을 설계하고 구성한다.” “실용무용 전공기초 교육을 위한 순수무용과 실용무용의 기초실기 교육과정과 전공 장르를 세분화한 심화과정을 체계적으로 구성한다.” “무용학의 개념을 기반으로 실용무용학 이론을 체계화 한 교육과정 체계를 구성한다.” 다섯째, 교과목개설은 “실용무용 전공 능력 향상을 위한 세분화된 순수무용 기초실기 과목을 개설한다.” “실용무용 전공을 위한 체계적 이론 및 실기과목을 창의적으로 개발하고 개설한다.” “현장기획, 음악, 영상 등의 분야를 실용무용과 융합하여 실질적으로 응용하고 활용할 수 있는 교과목을 다양하게 개설한다.”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지 결과를 통해 나타난 대학 실용무용 교육과정 변화에 대한 학생들의 요구와 이러한 필요를 근거로 전문가 델파이 조사의 교차연구와 창의적 사고 인식을 활용한 대학 실용무용 교육과정 체계에 대한 제시는 대학 실용무용 교육과정을 보다 더 발전적 방향으로 구체화 할 수 있는 실질적인 기초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향후 대학 실용무용의 새로운 흐름과 특성을 인지하고 나아가 창의적 사고 인식 기반의 체계적인 교육과정의 개선은 꼭 필요한 부분이다. 이에 본 연구는 융복합 시대의 흐름에 따른 문화예술교육의 창의적 사고 인식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현장 경험이론을 통한 대학 실용무용 교육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주제어: 창의적 사고 인식, 대학무용교육, 실용무용 교육과정, 교육과정 체계, 설문지조사, 전문가 델파이조사;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system of practical dance curriculum of university level based on the right educational value by using creative thinking awareness as a future research data on practical dance education curriculum.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xamines the difference and correlation between the curriculum improvement of students who are currently enrolled in the curricula of practical dances, instruction types, creative thinking awareness, class satisfaction, and class improvement awareness, and the effects of subject recognition, instruction type, and creative thinking on the recognition of class satisfaction and course improvement, and then understand the demand for improvement of university practical dance education courses. In addition, through cross-researching with analysing the opinions of experts in dance and practical dance fields, the researcher wanted to present the correct orientation of the university practical dance education system. The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by self-administration method using the method of using wireless sampling for 330 students of 7 universities in the Seoul, Gyeonggi Province which have established and managed a practical dance education curriculum. The Delphi survey of experts was designed with a total 15 people were selected and formed in the dance field, dance education experts, professional practice education experts, professional field experts, practical field experts and the surveys were conducted twice by replying to the questionnaire prepared through expert meetings via e-mail. The results from these research are summarised as follows: First of all, the difference in subject recognition factors among college practical students was higher than that of women in the method of teaching,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Moreover, there were high perceptions among students majoring in jazz dance and those who answered "yes" to the recognition of creative educational needs,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im of the class factor, students who answered "yes" to jazz dance majors and creative educational needs had high aware of the question. Second, th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instruction type among college practical dance students were higher in men than women in democratic factors, social support factors, and positive compensation factors. Third, the difference of creative thinking perception among college practical dance students was higher in men than female students. The result of analysing the difference of creative thinking perceived by major was the highest in Choreography major. Fourth, the difference of perception of class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gender of college practical dance students was found to be higher than that of female in education satisfaction, social satisfaction, psychological satisfaction, environmental satisfaction and rest satisfaction. Furthermore, as a result of analysing the difference of class satisfaction in recognition of necessity of creative education, students who answered "Yes" to recognition of need for creative education showed higher satisfaction of education satisfaction, social satisfaction, psychological satisfaction, environment satisfaction and rest satisfaction. Fifth,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recognition perception of class improvement according to the grade of college practical dance students in the order of 2ndyear, 1styear, and 4thyear,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ption of class improvement according to gender. In addition, the difference in awareness of classroom improvement due to the recognition of the necessity of creative education was higher in students who answered "Yes(88.2%)" than students who answered "No(11.8%)"in classroom improvement. Sixth, analysing the effects of subject recognition and creative thinking on class satisfaction of participants in university practical dance education curriculum, subjects’ recognition and creative thinking were found to have the most significant effect on class satisfaction. Seventh, when the results of demanding comprehensively examined the needs of university practical dance education curriculum students' awareness of creative education need, class satisfaction, class improvement, and creative thinking awareness, instruction type, class satisfaction, and class improvement perception were all high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ll areas. Therefore, most participants in the current university practical dance education curriculum recognise the necessity of creative education, and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participants who recognise the necessity are more actively demanding recognition of the improvement of the class. This could provide a basis for the participants to much actively support students’ demand for recognition of the actual direction of education in the study of university’s practical dance curriculum that using creative thinking awareness, as well as better recognition of the curriculum for the course improvement. As a result of the expert Delphi survey, the major classification items with an average of more than 4.00 in importance were detailed in five areas such as the educational plan, teaching and learning direction (teaching method) of the university practical dance curriculum system that utilizes creative thinking awareness, educational goals, curriculum composition: First, the education plan should "systemize the basis of specialized genre and cultivate creative ability to use the field through various systematic lessons based on the major. In addition, plan to create more creative fusion subjects with the formation of faculty members who have an understanding of the genre of practical dance ". Second, the direc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teaching method) is "to study the continuous teaching model for the development of creative teaching method focusing on understanding of genre of practical dance. In addition, through continuous exchange with experts in various fields, organically cooperate with the direc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and build a teaching delivery system centring on communication with students". Third, the educational goal is “based on the systematic expertise of the major field of knowledge, to cultivate a professional dancer who can creatively work while embracing fusion with other fields through creative thinking, public friendly communication ability and open thinking.” Fourth, the curriculum is composed of "designing and constructing a variety of convergent curriculums such as performance production and creative practice for creative and professional use of the field," "foundation of pure dance and practical dance for basic education, And to form a systematic curriculum that classifies practical education curriculum and major genre.", " constitute a curriculum system that systematises the theory of practical dance based on the concept of dance". Fifth, the suggestion of the course opening will "open up a basic course of pure dance for improvement of practical dance major skill", "creatively develop and open systematic theory and practical course for practical dance major", "site planning, music, and video are combined with practical dance to practically apply and utilise". The presentation of the system of the practical dance education curriculum utilizing the creative thinking awareness through the result of the questionnaire on students’ needs for the improvement of the university practical dance curriculum and the results from the cross-examination of experts' Delphi Survey which based on student’s demand, can be a practical basic material that could be embodied in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university practical dance education.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systematically organize and improve the practical dance education curriculum while recognizing the characteristics of practical dance that has flowed into the school as a genre of dance education in a new flow. This study, therefore, can suggest the direction of the university practical dance education to advance further by positively utilising the awareness of creative thinking of culture and art according to the trend of the times. Key words: Creative Thinking Recognition, University Dance Education, Practical Dance Curriculum, Curriculum System, Questionnaire Survey, Expert Delphi Survey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00360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5347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DANCE(무용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