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65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삼형-
dc.contributor.author이목자-
dc.date.accessioned2019-02-28T03:24:38Z-
dc.date.available2019-02-28T03:24:38Z-
dc.date.issued2019-02-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00282-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5451en_US
dc.description.abstract연결어미가 종결어미자리에서 나타나 문장을 연결하는 기능에서 벗어나 문장을 종결하는 기능을 하게 되는 현상이 있다. 본고는 연결어미의 이런 쓰임을 한국어 구어 문법의 일환으로 본고 이를 효과적으로 교육할 수 있도록 관련된 목록 선정, 의미기능 분석, 교육 실태 등 내용을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두고 연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먼저 Ⅰ장에서는 종결어미화된 연결어미에 관련된 선행 연구를 살펴보았다. 관련된 연구들이 주로 국어학과 한국어 교육학 두 가지 영역에서 많이 이루어져 왔고 대부분 연구는 종결어미화된 연결어미의 형태, 의미적인 특성에 대한 연구들이었다. 종결어미화된 연결어미 교육, 특히 교육 실태에 관한 연구는 많이 없었다. 또한, 종결어미화된 연결어미가 구어에서 많이 사용되는 특성을 고려해서 본고에서 세 가지 말뭉치를 활용하였다. 첫째, 국립국어원에서 구축한 <현대 구어 말뭉치>, 둘째, 역시도 국립국어원에서 구축한 <학습자 구어 말뭉치>, 셋째는 연구자가 KBS 시사프로그램 <이웃집찰스>를 바탕으로 직접 구축한 <학습자 구어 말뭉치>이다. Ⅱ장에서는 먼저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인 구어문법에 대해서 기술하였다. 그다음 기존 논의를 바탕으로 본고의 연구대상인 종결어미화된 연결어미에 대한 개념을 ‘문장 끝자리에 쓰여 본래의 문장과 문장을 연결하는 역할에서 문장을 종결하는 역할로 변하게 되며 원래의 의미기능을 잃고 새로운 의미기능을 갖게 된 연결어미‘로 제시하였다. Ⅲ장에서는 한국어 종결어미화된 연결어미를 선정하는 데 관련된 내용을 기술하였다. 우선 기존의 연구를 바탕으로 종결어미화된 연결어미 선정 기준을 구조적 기준, 빈도적 기준, 의미적 기준 총 세 가지를 설정하였다. 그 다음 이 세 가지 기준대로 구어에서 많이 쓰이는 연결어미 42개 중에서 ‘-고’, ‘-는데, ’-거든’, ‘-게’, ‘-려고’, ‘-도록’, ‘-든지’ 총 7개를 종결어미화된 연결어미로 선정하였다. Ⅳ장에서는 <국립국어원 현대 구어 말뭉치>를 활용하여 선정된 7개 종결어미화된 연결어미의 의미기능 및 통사적 제약을 분석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서 종결어미화된 연결어미가 종결어미 역할 때와 연결어미 역할 할 때 의미기능과 통사적 차이가 현저히 들어나는 것을 입증하였다. Ⅴ장에서는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종결어미화되 연결어미의 교육 실태를 분석하였다. 우선 <국립국어원 학습자 구어 말뭉치>나 연구자 구축한 <학습자 말뭉치>를 바탕으로 학습자의 종결어미화된 연결어미 사용 실태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학습자들이 7 개 종결어미화된 연결어미 중에서 ‘-고’, ‘-는데’, ‘-거든’만 사용하고 있고, ‘-게’, ‘-려고’, ‘-도록’, ‘-든지’ 등을 전혀 사용하고 있지 않다. 그리고 학습자들이 사용하는 ‘-고, -는데, -거든’의 모든 의미기능을 사용하지 못하고 그중의 일부만 사용하고 있다. 또한, 학습자의 사용 오류 현상을 ‘종결어미를 적절하게 사용 하지 못하는 경우’, ‘종결어미화되 연결어미를 사용해야 하는데 사용하지 않은 경우’, 그리고’ 종결어미화되 연결어미를 과다 사용된 경우’ 등 세 가지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다음, 연세대, 서울대, 이화여대, 성균관대, 고려대 등 교육기관에서 사용하고 있는 교재를 대상으로 종결어미화된 연결어미의 제시 현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섯 개 교재에서 제시된 교육 대상어미는 좀 다르지만 종결어미화된 연결어미 ‘-고’, ‘-는데’, ‘-거든’만 제시하고 있고, 나머지 종결어미화된 연결어미 ‘-게’, ‘-려고’, ‘-도록’, ‘-든지’ 등을 전혀 제시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종결어미화된 연결어미에 대해서 제시된 의미기능, 제시 단계, 순서, 문법 기술, 예문, 연습활동 등 내용은 각 교재마다 다 차이가 난다. 또한 종결어미화된 연결어미의 각 의미 제시 순서도 제시하였다. Ⅵ장에서는 본고의 내용을 요약하고 연구의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이처럼 본고는 한국어 종결어미화된 연결어미의 의미적, 통사적 특성을 분석하고, 이들이 한국어 교육에서의 교육 실태도 분석하였다. 이 내용들 통해서 한국어 학습자가 종결어미화된 연결어미의 각 의미기능과 통사적 특성을 파악하고 실제 의사소통 상황에서 종결어미화된 연결어미를 변별력 있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기를 바라며 한국어 교육과 관련된 자료 개발에도 유용하게 활용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한국어 교육을 위한 종결어미화된 연결어미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final endingization connective ending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이목자-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LI MUZI-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대학원-
dc.sector.department국어교육학과-
dc.description.degreeDoctor-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KOREAN LANGUAGE EDUCATION(국어교육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