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39 0

독자 이덕무의 독서 수행 연구

Title
독자 이덕무의 독서 수행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Reading Performance of Reader Lee Deok-mu : Focusing on “Jongbuksoseon” Pyeongjeom-criticism
Author
박소정
Alternative Author(s)
Park So-jeong
Advisor(s)
류수열
Issue Date
2019-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이 연구는 『종북소선(鐘北小選)』 평점비평(評點批評)을 분석함으로써 독자로서의 이덕무(李德懋, 1741-1793)의 의미 구성 양상과 그 방향을 살피는 연구이다. 『종북소선』은 박지원(朴趾源, 1737-1805)의 작품을 읽은 독자의 다층적인 반응이 정련된 형태로 기재되어 있는 평점비평서로 이덕무의 서문과 박지원의 작품 10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덕무는 박지원의 작품을 이해하기 위하여 평점비평을 활용하여 능동적으로 독창적인 의미를 구성하고 이를 기록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종북소선(鐘北小選)』 평점비평을 통해 독자로서의 이덕무가 능동적이며 독창적으로 작품의 의미를 재구하는 독서 수행을 밝히고자 한 것이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평점비평이 현대 독자의 능동적인 의미 구성 과정에 시사하는 바를 아울러 살폈다. 이 연구는 이덕무가 ‘기(記)’, ‘서(序)’, ‘명(銘)’, ‘독(牘)’이라는 문체별로 박지원의 작품을 선별하여 배치하고, 선정한 작품에 평점비평을 가하였으므로 『종북소선』을 독자의 의미 구성이 집약된 자료라 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는 『종북소선』 평점비평을 중심으로 독자 이덕무가 독서 수행 과정에서 평점비평을 활용하여 의미를 구성하는 양상을 검토하고, 의미를 구성한 방향을 논하였다. ‘평점비평(評點批評)’은 ‘평(評)’, ‘비(批)’, ‘점(點)’을 활용하여 평점비평가(評點批評家) 또는 평자(評者)가 작품의 내용과 형식에 대하여 해석, 감상, 평가를 하는 것으로, 평점비평에는 독서 수행 중에 작품을 이해하기 위하여 능동적으로 작품을 읽는 독자의 반응이 드러난다. 독자는 평점비평을 가하는 과정에서 작품에 대한 자신의 의미 구성을 현시할 수 있게 되며 나아가 작품과 능동적으로 소통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평점비평은 독자와 타인과의 소통을 돕는다. 평점비평을 활용한 독자의 의미 구성은 독자의 목소리로서 작가와의 교감 장면을 드러내는 한편 점과 언어의 형태로 작품과 함께 공존하여 다른 독자의 의미 구성 과정에 영향을 끼친다. 이와 같은 평점비평은 독자가 구성한 의미를 명시적으로 드러내고, 독자와 작품, 독자와 작가, 독자와 다른 독자와의 소통을 가능하게 한다. 평점비평은 독자의 독서 수행에서 활용되어 독자의 해석, 감상, 평가를 체계적으로 명시화하는 데 도움을 주는 독서 방법인 것이다. 『종북소선』 평점비평의 양상을 살펴보는 Ⅲ장에서는 서문에 주목하여 「『종북소선』서(鐘北小選叙)」에 담긴 이덕무의 독자 의식을 탐색하였다. 전통적으로 서문(序文)은 독자가 파악한 작품의 주제의식이 기록되어 있어 독자가 어떠한 의미에 집중하여 독서를 수행하였는지를 살펴볼 수 있고, 독자가 지향하는 독서 수행 방향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논지를 바탕으로 「『종북소선』서」를 탐색하여, 독자 이덕무가 『종북소선』 작품에 담긴 작가의 문예의식을 ‘성색정경(聲色情境)’으로 요약하고, ‘성색정경(聲色情境)’, ‘문심(文心)’과 ‘글[文]’에 집중하여 작품을 읽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종북소선』서」는 이덕무가 『종북소선』 작품의 주제의식을 종합한 것을 드러내고 있으며, 이덕무가 어떠한 기준으로 평점비평을 가하였는지를 알려주는 지표이다. 또한 독자는 『종북소선』을 독서할 때 경계해야 할 점을 분명히 명시함으로써 다른 독자의 독서 방법을 안내하고, 이를 실천할 수 있도록 권면하는 모습을 살펴볼 수 있다. 한편 서문을 제외한 『종북소선』 작품 10편에 기재된 평점비평을 살펴보기 위하여 『종북소선』 평점비평에 활용된 요소를 살펴보았다. 『종북소선』 평점비평은 점의 형태로 존재하는 ‘구두점(句讀點)’, ‘권점(圈點)’이 있고, 언어의 형태로 존재하는 ‘방비(旁批)’, ‘후평(後評)’, ‘미평(眉評)’이 있다. 각각의 평점비평 요소가 존재하는 위치, 모양, 특징을 논함과 동시에 각 요소들이 작품과 공존하고 있는 실상을 살펴보았다. 특히 이 연구는 ‘구두점’과 ‘권점’이 독자 이덕무의 ‘꼼꼼히 읽기(close reading)’를 가능하게 하며, 독자가 구성한 의미의 중요도를 차별적으로 나타내는 역할을 하는 것을 밝혔다. 또한 ‘방비’를 통해 독자는 스스로의 목소리를 작품에 입혀 자신을 위한 독서를 추구하고 있으며, ‘후평’을 바탕으로 독자가 구성한 의미가 종합되어 마침내 ‘미평’을 통하여 독자의 인식 지평은 넓어져 새로운 사유로 나아가게 됨을 밝혔다. 『종북소선』 평점비평을 통해 이덕무의 독서 수행을 살펴본 Ⅳ장에서는 『종북소선』 체제 구성의 기준이 된 문체를 중심으로 ‘기(記)’, ‘서(序)’, ‘명(銘)’, ‘독(牘)’에 해당하는 작품의 평점비평을 탐색하여 독자의 의미 구성 양상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하야연기(夏夜讌記)」, 「『공작관집』서(孔雀館集序)」, 「망자유인박씨묘지명(亡姊孺人朴氏墓誌銘)」, 「육매독(鬻梅牘)」을 분석하였다. 해당 작품은 독자가 박지원의 작품을 선정하고, 순서대로 배열하는 데 있어 작가의 삶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작품을 우선적으로 배치하여, 『종북소선』을 선(選)하는 독자의 의미 구성이 돋보인다. 또한 각 작품의 평점비평을 분석함으로써 독자의 사유와 정서가 확장되는 양상을 살폈다. 독자는 평점비평을 활용함으로써 자신의 의미 구성을 점의 형태에서 언어의 형태로, 작품에 드러나는 의미에서 작품에 드러나지 않은 의미로 점진적으로 심화·확장해 나가는 것을 살펴볼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종북소선』 평점비평의 의미 구성 방향을 탐색한 결과, 이는 두 가지로 방향으로 나타난다. 첫째는 독자가 평점비평의 각 요소를 순차적으로 활용함으로써 작품을 구체화하여 독자만의 의미 구성을 이루는 것이다. 둘째는 독자가 개인의 의미 구성을 바탕으로 타인 그리고 자아와의 소통을 추구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독자가 평점비평의 각 요소인 ‘권점(圈點)’, ‘방비(旁批)’, ‘평(評)’을 순차적으로 활용함으로써 작품을 구체화하여 독자만의 의미 구성을 이루어 나감을 확인하였다. 특히 『종북소선』의 미평은 작가가 생각한 사유에 영향을 받아 독자의 사유가 확장되는 것과 작가가 생각하지 못한 사유를 독자가 포착함으로써 새로운 사유가 생성되는 것으로 나타나 독자의 창의적 의미 구성이 두드러진다는 것을 밝혔다. 또한 평점비평을 활용한 의미 구성은 독자가 작품을 매개로 타인과의 소통 그리고 자아와의 소통을 추구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을 살펴보았다. 독자의 의미 구성은 서문 그리고 박지원의 작품을 모두 아우르는 내적 일관성을 갖추고 있어 다른 독자의 의미 구성에 영향을 미친다. 특히 독자는 동인 집단의 특정 인물과의 소통을 추구하는 것으로 보이는데, 독자는 미평을 활용하여 특정 인물에게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그리고 독자는 낯선 작품을 자신의 경험과 연결 지으며 작품을 이해하고자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독자는 낯선 작품을 자신의 삶으로 받아들임으로써 독자 ‘자신’에 집중하여 사유의 지평을 넓히고, 삶에 대한 자세를 가다듬어 독자가 지향하는 삶의 방향을 세우게 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를 바탕으로 평점비평이 현대 독자에 시사하는 바를 논하여 평점비평이 독자를 능동적 주체로서 의미 구성 과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독려하고, 독자만의 의미를 창조할 수 있도록 돕는 고전 독서 방법임을 강조하였다. 이 연구는 『종북소선』 평점비평을 중심으로 독자 이덕무의 독서 수행을 탐구함으로써 평점비평이 독자의 독창적인 의미 구성에 도움을 주고 독자의 인식 지평을 확장할 수 있도록 독려하는 독서 방법임을 밝힌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실제 비평인 평점비평을 통하여 ‘독자’의 구체적인 독서 수행을 살펴봄으로써 독자의 능동적 역할을 강조하여 독자의 위상을 높이는 데 기여한 것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aning formation direction and direction of Lee Deok-mu (李德懋, 1741-1793) as a reader by analyzing the “Jongbuksoseon” Pyeongjeom-criticism. “Jongbuksoseon” exist the multi- layered response of the reader who read Park Ji-won's works. And “Jongbuksoseon” is composed of prolegomena written by Lee Deok-mu and 10 works written by Park Ji-won. In order to understand Park Ji-won's work, Lee Deok-mu recorded his own original meaning construction by using Pyeongjeom-criticism. In this study, it is aimed to reveal the reading performance of Lee Deok-mu as a reader through “Jongbuksoseon” pyeongjeom-criticism. In addition, the pyeongjeom-criticism suggests that modern readers can actively participate meaning construction by using pyeongjeom-criticism. In this study, Lee Deok-mu selected and arranged the Park Ji-won's works according to the style of 'gi',' Seo ', 'myeong' and 'dok'. Also, it was seen that “Jongbuksoseon” was collected the data of the meaning construction of the reader. Based on these, this study examined the aspect of meaning constructing by using the pyeongjeom-criticism in the process of reading performance by Lee Deok-mu, focusing on “Jongbuksoseon” pyeongjeom -criticism. Pyeongjeom-criticism is that the reader recorded in order to interpret, appreciate, evaluate about content and form of work by using criticism and dot. So that the reader's response, in order to understand the works, is revealed by pyeongjeom-criticism. The reader will be able to view the meaning construction about the works, and communicate actively with the work by using pyeongjeom-criticism. In addition The reader will be able to communicate with others. In the second chapter that discusses about pyeongjeom-criticism`s origin, development and finds out pyeongjeom-criticism`s significance of reading. Pyeongjeom-criticism was began to understand the meanings of the sacred books in order to grasp the meanings of them, and was expanded to various areas such as poetry, novels, and comedies. This means that the pyeongjeom-criticism with the feature of commentary gradually develops in consideration of the various interpretation, appreciation and evaluation of the reader. Meanwhile pyeongjeom-criticism will be able to help the reader to communicate with the work. And it was used to help other reader`s understand by providing one reader`s perceived meaning. This means that pyeongjeom-criticism has developed to enable communication between reader, texts, and other readers. Based on the origins and the process of development of pyeongjeom-criticism, this study examined the flow of it in the late Joseon period. Especially focusing on Lee Deok-mu`s pyeongjeom -criticism performance of “Jongbuksoseon”, because of “Jongbuksoseon”`s values. In the third chapter that discusses aspects of “Jongbuksoseon” pyeongjeom –criticism. Focusing on the prolegomena written by Lee Deok-mu, Lee Dong-moo's own consciousness is searched in “Jongbuksoseon”. Traditionally, the prolegomena contains the topic of work that the reader has grasped, so that it means what the reader has focused on and what the reader is oriented towards reading performance of direction. Based on these arguments, ‘“Jongbuksoseon” prolegomena’ is searched that Lee deok-mu summarized the subject in ‘seong-saek-jeong-kyeong’ and that Lee deok-mu concentrated his attention on ‘seong-saek-jeong-kyeong’, ‘munsim’, ‘geul’. Also, ‘“Jongbuksoseon” prolegomena’ is searched that the reader should clearly indicate the precautions to be taken when reading “Jongbuksoseon” and look at how to read other readers and encourage them to practice. Meanwhile “Jongbuksoseon” pyeongjeom-criticism exist on dot or language of shape. The former is ‘gudujeom’, ‘gwonjeom’ and the latter is ‘bangbi’, ‘hupyeong’, ‘mipyeong’. Especially this study has revealed that reader will able to read ‘close reading’ by using ‘gudujeom’, ‘gwonjeom’ and put his voice on the work by using ‘bangbi’, and expand the reader's thinking by using ‘hupyeong’, ‘mipyeong’. In the forth chapter that discusses the reading performance of reader Lee Deok-mu through “Jongbuksoseon” pyeongjeom-criticism. Based on the style that was the basis of the composition of the “Jongbuksoseon” system, the meaning construction of the reader is analyzed by searching pyeongjeom– criticism of works corresponding to 'gi',' Seo ', 'myeong' and 'dok’. This study is analyzed ‘hayayeon-gi’, ‘gongjaggwanjib-seo’, ‘mangja-yuin-park- ssi-myoji-myeong’, and ‘yukmae-dok’. In selecting the works of Park Ji - won, the reader selected and arranged works closely related to the artist 's life. Also reader`s meaning construction gradually deepens and expands from dot to language and from meaning of the work to meaning of the work that is not revealed, by using pyeongjeom-criticism. Based on these, As a result of exploring the meaning construction direction of “Jongbuksoseon” pyeongjeom-criticism, it appears in two directions. The first is that, by using each element of pyeongjeom-criticism sequentially from ‘gwonjeom’ to ‘bangbi’ and from ‘bangbi’ to ‘pyeong’, the reader can form his own meaning construction by embodying work. The second is that the reader seeks communication with others and the self based on the meaning construction of the individual. The reader appears to be seeking to communicate with a particular person in a group of people, who appears to convey a message to a particular person by using ‘mipyeong’. And the reader focuses on his own life by accepting strange works, so that It broadens the horizon of the reader's reas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pyeongjeom-criticism is a reading method that encourages the reader to help reader's original meaning construction and expand their perception . Also, it is meaningful in that by looking at the specific reading performance of the reader through pyeongjeom-criticism, it contributed to the enhancement of the reader's status by emphasizing the active role of the reader.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00277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4960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KOREAN LANGUAGE EDUCATION(국어교육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