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0 0

군산 원도심 재생을 위한 문화시설 계획

Title
군산 원도심 재생을 위한 문화시설 계획
Other Titles
Cultural Infrastructure Design for Regeneration of Old City Center in Gunsan
Author
이다혜
Alternative Author(s)
Lee, Da Hye
Advisor(s)
안기현
Issue Date
2019-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렘 쿨하스는 자신의 저서‘S, M, L, XL’에서 현대의 도시를 ‘포괄적인 도시(The Generic City)’로 설명하였다. 여기서 포괄적인 도시란 정체성의 구속으로부터 벗어난 곳, 현재의 요구와 능력이 반영된 것 외엔 아무것도 아닌 장소, 헐리웃 스튜디오만큼 피상적인 공간으로 묘사된다. 우리나라의 급격한 경제성장으로 인한 사회 변화는 도시의 공간들도 변화시켜왔다. 인간의 행위와 시간이 오래도록 결합하여 만든 도시의 장소들은 수익 창출을 위한 자본으로 인식되었고, 이러한 목적으로 개발된 도시의 많은 공간은 어디에서나 존재하지만 어떤 곳에서도 존재하지 않는 피상적인 장소가 되었다. 한편, 우리나라는 국내 낙후지역을 대상으로 한 도시재생사업을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는데, 이 시점에서 인간과 도시 사이에 존재하는 정체성을 가진 장소를 만들기 위한 도시 재생 계획에 대해 연구할 필요성이 있다. 군산의 원도심은 일제강점기 동안 근대적인 항구도시로 발전하였으나, 신도심이 개발되면서 상대적으로 쇠퇴한 지역이다. 현재 원도심에 남아있는 근대건축물이나 격자형 가로체계는 일제강점기에 완성된 것인데, 이 역시 일본의 ‘미곡 수탈기지조성’이라는 단기적 목표에 따라 도시의 정체성이 강제적으로 주입된 것이라 볼 수 있다. 한편, 최근 군산시는 원도심에 있는 일제강점기 때의 건축물이나, 폐 항구부지, 등을 활용한 도시재생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다시금 도시의 정체성이 변화하는 시기를 맞은 것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군산 원도심을 광역적인 대상지로 선정하였다. 또한 원도심 중심부에 있어 사업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되는 군산초등학교 부지를 선정하였다. 대상지의 역사와 주변 현황, 문제점 등을 분석하여 장소성을 만들기 위한 요소를 추출했고, 정의된 장소성을 구현할 수 있는 디자인 개념과 공간 계획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is for urban regeneration of old city center in Gunsan by discovering ‘Placeness’ of a site. A problem of the site is that an elevation level of the site is three meters above the main road, disconnecting relationship between urban space. Additionally, it is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old city center where major roads converge. Therefore, the site has to be space for connecting various places of the city. A design strategy is connecting a severed flow of terrain by restructuring perished mountain pass which had existed before Japanese colonial era. The recreated mountain pass becomes a path linking all major point of the city and create space for human activities which can form new identity of the place.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00166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4882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ARCHITECTURE(건축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