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0 0

주간보호센터를 이용하는 인지 저하 노인을 위한 좌식 운동 프로그램이 허약에 미치는 영향

Title
주간보호센터를 이용하는 인지 저하 노인을 위한 좌식 운동 프로그램이 허약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the Sitting Exercise Program for Frail Elderly with Cognitive Impairment in Day Care Center
Author
박보은
Advisor(s)
홍(손)귀령
Issue Date
2019-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치매는 기억 감퇴로 시작되어, 다른 인지 영역의 퇴행 및 일상생활 유지에 장애가 나타나기 시작하면서 지각, 사고 내용 정서, 또는 행동 장애에 의해 정신병 증상이 동반 되는 증후군이다. 허약 및 신체 기능 향상을 위해서 인지저하노인을 대상으로 좌식운동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그 효과를 보기위한 목적으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 유사 실험연구로 진행하였다. 대상자는 서울시 S구와 M구에 위치한 노인요양시설의 주간호보서비스를 이용하는 인지저하노인을 대상으로, S구를 실험군, M구를 대조군으로 임의 표집하여 실험군 21명, 대조군 21명을 최종 대상자로 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6년 11월부터 2017년 2월까지 사전조사, 실험처치, 사후조사의 순으로 진행되었다. 좌식운동프로그램은 Best-Martini & Botenhagen-Digenova, (2005)의 좌식운동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균형 감각이 저하된 인지저하노인에게 있어 안전과 운동의 효율성을 고려한 중재프로그램이다. 본 연구자와 시설에서 근무하는 간호 제공자 1인이 60분씩, 주 2회, 총 10주 동안 제공하였으며, 대조군은 평소대로 유지하였다. 각 집단에서 10주 후 허약, 신체기능(악력, 간편 신체수행평가)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도구는 인지기능평가의 경우 한국판 간이형 정신상태 검사도구(MMSE-DS)를 사용하였으며, 허약은 포괄적 한국 노인 허약사정 도구(CKFI), 신체 기능은 악력 및 간편 신체기능검사(균형검사, 4m 보행속도, 반복 앉고 일어서기)를 측정하였다. 자료는 SPSS/WIN 21.0를 이용하였으며, 빈도, 평균, 백분율, Independent t-test, Paired t-test, Mann-Whitney U test, Wilcoxon matched pairs signed ranks test를 사용하였다. 모든 통계적 유의수준 p<.05 로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좌식운동프로그램에 참여한 인지저하노인은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인지저하노인에 비하여 허약점수가 감소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따라서 제1가설은 지지되었다. 2. 좌식운동프로그램에 참여한 인지저하노인은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인지저하노인에 비하여 악력(Z=-.99, p=.160)과 간편 신체 수행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따라서 제 2가설, 제 3가설은 지지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좌식운동프로그램은 주간보호센터를 이용하는 노인의 허약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보여 지나, 신체기능 향상에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는 신체기능 향상에 10주간의 기간은 인지저하노인에 있어 다소 짧은 중재기간으로 고려되어 지며, 차후 후속연구에서 장기 중재연구를 제언한다. 본 연구는 인지저하가 있는 노인을 대상으로 사고의 위험성을 최소화 하여 시행 가능한 좌식운동프로그램을 시행 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으며, 주간보호서비스 이용 노인들에게 장기적으로 시행한다면, 허약을 예방하기 위한 실질적인 간호를 제공 할 수 있을 것이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00109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5298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NURSING(간호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