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50 0

임상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 측정도구 개발 및 평가

Title
임상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 측정도구 개발 및 평가
Other Titles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Nursing Wokr Environment Scale of Clinical Nurses(NWES-CN)
Author
고영주
Alternative Author(s)
Ko, Yeong Ju
Advisor(s)
홍(손)귀령
Issue Date
2019-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최근 노인 인구 및 만성질환자의 증가로 전문적인 간호인력에 대한 요구도가 증가하고 있다. 간호사는 간호서비스를 제공하는 핵심인력으로(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7) 간호인력의 유지·관리는 매우 중요하다. 간호인력 부족은 일하고자 하는 간호사가 부족한 현상으로 간호근무환경 개선을 통해 간호사 유지를 도모해야 한다(임숙빈, 이미영, 김세영, 2015). 이를 위해 일차적으로 간호근무환경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측정도구 개발이 필요하다. 국내 선행연구(강기노, 2012; 문지선, 정경희, 2016; 송은아, 허명선, 안효자, 최정숙, 2017; 이미혜, 김종경, 2013)를 살펴보면, 대부분의 연구에서 PES-NWI(Practice Environment Scale of Nursing Work Index) 도구를 타당도 검증 없이 번역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이 도구의 이론적 기틀은 1980년대 자료를 기반으로 하여(Erickson et al., 2004) 시대변화를 반영하는 항목이 구성되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Gu, & Zhang, 2014; Warshawsky, & Havens, 2011). 급속하게 변화하는 보건의료환경의 특성과 국가별 보건의료체계의 차이를 반영하여(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14), 간호근무환경 측정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최근 개발된 박소희, 강지연(2015), Kim, Kim, Yu, Kim과 Lee(2015)의 간호근무환경 측정도구는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지 않아 이론적 검증과정이 생략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의 개인 면담을 바탕으로 도구개발의 모든 단계를 수행하여 타당도와 신뢰도가 확보된 측정도구를 개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도구 개발과 검증 과정은 DeVellis(2012)가 제시한 여덟 단계로 이루어졌다. 도구의 구성요소는 임상간호사 11명을 대상으로 개인 면담을 통해 확인한 후 61개의 초기 문항을 구성하였다. 중간값을 취할 경향이 있어 도구의 척도는 4점 likert 척도로 결정하였고, 초기 문항에 대해 두 차례에 걸쳐 전문가 9명에게 내용타당도를 검증받았다. 임상간호사 20명을 대상으로 예비 조사를 하였으며, 임상간호사 5명에게 인지 면담을 하여 최종 34개의 문항을 도출하였다. 도구 검증 단계로 임상간호사를 대상으로 본 조사를 시행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본 조사 자료수집 기간은 2018년 4월 25일부터 2018년 6월 30일까지였으며, S시, K도, G도, C도, J도에 소재하고 있는 상급종합병원과 종합병원에서 6개월 이상 근무하고 있는 임상간호사 353명으로 근무하고 있는 병원 크기 현황을 기준으로 할당 추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22.0 version, AMOS/WIN 22.0 version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구성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문항 분석 후 탐색적 요인분석을 시행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은 전체 353명의 대상자를 무작위 추출하여 203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에서 요인 수는 평행성 분석, 스크리 검사, 누적분산비율 등을 통해 결정하였으며, 그 결과 3개 요인, 23개 문항이 도출되었다. 1요인은 ‘간호관리자의 역량’, 2요인은 ‘간호사의 안전관리체계’, 3요인은 ‘간호사의 지원 체계’로 3개 하위요인의 누적 분산 비율은 91.3%이었다. 확인적 요인분석은 탐색적 요인분석에 포함되지 않은 150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요인부하량이 .50 미만, 다중상관제곱치 값이 낮게 나타난 3개 문항을 삭제하였다. 최종 3개 요인, 20개 문항에 대한 모형의 적합도는 χ²=271.379(p<.001), df=167, Normed χ² (CMIN/df)=1.625, GFI=.84, SRMR=.05, RMSEA=.06, IFI=.92, CFI=.92, PNFI=.73, PCFI=.81로 나타나 모형의 적합도 지수 및 수용 가능한 기준을 만족하여 본 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에서 수렴타당도와 변별타당도를 검증한 결과, 요인 부하량은 .50 이상이며, 유의성(C.R.)은 1.965 이상, AVE는 .50 이상, 개념신뢰도는 .70 이상으로 나타나 수렴타당도가 확보되었다. 변별타당도는 상관계수 제곱 값이 .14∼.37로 해당 요인의 AVE 값 .50∼.76보다 작아 변별타당도가 확보되었다. 도구를 이용한 수렴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간호근무환경 점수와 직무만족도 점수와의 상관관계를 평가한 결과, r=.64(p<.001)로 정적 상관관계 보여 수렴타당도가 확보되었다. 준거타당도 중 동시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간호근무환경 점수와 한국형 간호근무환경 점수와의 상관관계를 평가한 결과 r=.76(p<.001)으로 정적 상관관계를 보여 준거타당도가 확보되었다.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안정성 신뢰도와 동질성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안정성 신뢰도는 검사-재검사 상관계수가 .85, 급내 상관계수 값은 .92로 나타나 신뢰도가 확보되었다. 내적 일관성 신뢰도 Cronbach’s α값은 .90으로 나타났으며, 영역별로 .80∼92로 측정되어 신뢰도가 높은 도구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임상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 측정도구(Nursing Work Environment Scale of Clinical Nurses, NWES-CN)는 도구개발에 필요한 모든 단계와 신뢰할 수 있는 검증과정을 걸쳐 타당도와 신뢰도가 확인되었으므로 국내 임상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을 평가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본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00104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5242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NURSING(간호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