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98 0

북한이탈여성을 위한 통합적 생식건강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Title
북한이탈여성을 위한 통합적 생식건강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Other Titles
Develpoment and Evaluation of Integrated Reproductive Health Program for North Korean Women refugees
Author
오지현
Alternative Author(s)
Oh Jihyun
Advisor(s)
탁영란
Issue Date
2019-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북한이탈여성들이 증가하며 북한이탈여성의 건강은 중요한 문제가 되고 있다. 특히, 가임기 여성의 건강관리는 북한이탈여성들이 남한사회에 적응하는 과정을 돕고, 통일 이후 북한이탈주민 전체의 변화과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북한이탈여성들은 자궁경부암, 피임 등과 같은 생식건강 지식수준이 낮으며, 교육에 대한 요구를 가지고 있다. 이에 북한이탈여성의 특수성을 고려한 생식건강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북한이탈여성을 대상으로 IMB 모델을 기반으로 통합적 생식건강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생식건강지식, 자기효능감, 지각된 장애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대상자는 가임기 북한이탈여성으로 G시 소재 북한이주민지원센터의 협조를 얻어 대상자를 모집하였다. 통합적 생식건강 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사후 유사실험설계를 이용하였고, 통합적 생식건강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위한 자료수집은 2018년 9월 1일부터 29일까지 실험군 16명과 대조군 2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실험군에게 매주 1회씩 4주간 총 4회기에 걸쳐 질병예방, 갱년기 특성, 여성암의 특성과 자기관리에 대해 통합적 생식건강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대조군에게는 교육을 진행하지 않았다. 자료분석은 SPSS/WIN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고, 실험군과 대조군의 사전 동질성 검정은 x2-test, Fisher’s exact test, t-test로, 종속변수의 정규분포 검정은 Shapiro-Wilk test로 검정하였다. 가설은 independent t-test와 Mann-Whitney U test, 각 군간 사전 사후 비교는 paired t-test와 Wilcoxon signed-rank test, 나이, 한국거주 기간, 지각된 장애성 점수를 공변량으로 처리한 후 ANCOVA로 분석하였다. 통합적 생식건강 프로그램의 결과 생식건강지식(t=2.672, p=.011), 자기효능감(t=3.004, p=.005)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지각된 장애성은 사전 지각된 장애성 점수가 동질성 검증에 차이가 있어 사전 지각된 장애성 점수를 공변량으로 설정한 후 실시한 결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F=9.207, p=.005). 생식건강 지식의 하부영역에서 피임, 질염, 성 전파성 질병과 폐경기 영역은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개선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자기효능감의 하부영역에서 영양, 건강책임 영역이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개선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북한이탈여성을 위한 통합적 생식건강 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한 결과 이들의 생식건강 지식과 자기효능감의 증가, 지각된 장애성의 감소에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통합적 생식건강 프로그램은 북한이탈여성들이 생식건강에 자신감을 가지고 이를 이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활용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본 연구에서는 충분한 수의 대상자를 대상으로 하지 못하였으므로 프로그램의 효과를 일반화하는데 무리가 있으며, 통합적 생식건강 프로그램의 효과를 교육 종료 시점에서 확인하여 장기간의 효과를 검증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실험군과 대조군의 종속변수에 대한 동질성이 확보되어 가설 검증에 문제는 없으며, 규칙적인 건강교육 프로그램에 참석하는 것을 어려워하는 특성을 가진 북한이탈여성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평가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연령대의 북한이탈여성에게 통합적 생식건강 교육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00102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5044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NURSING(간호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