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4 0

심층 생태주의에 기초한 고등학교 시각문화 미술교육 교수-학습 지도방안 연구: 문제중심학습 모형을 중심으로

Title
심층 생태주의에 기초한 고등학교 시각문화 미술교육 교수-학습 지도방안 연구: 문제중심학습 모형을 중심으로
Other Titles
A Study on Lesson Plan for High School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based on Deep Ecology: Focusing on Problem Based Learning
Author
김소현
Alternative Author(s)
Kim, Soh Hyun
Advisor(s)
김선아
Issue Date
2019-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오늘날의 세계는 산업화와 기술의 발전을 통하여 과거에는 상상조차 할 수 없었던 눈부신 발전을 이룩하였다. 한편, 이러한 눈부신 발전 뒤에는 지구 생태계에서의 여러 정치, 사회, 이념, 경제, 문화, 환경적 문제들을 포함한 생태학적 위기라는 어두운 그림자도 뒤따라 등장하였다. 오늘날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난 생태학적 위기는 인간중심적, 합리적, 이성적 세계관에서 기인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제는 ‘나’만을 중요시 하는 인간중심적, 이성적, 합리적 사고만을 중시할 수 없는 시점이다. 이에 따라 나와 여러 개체들을 분리해서 사고하는 것이 아니라, 이들 간의 상호 관계와 맥락을 총체적으로 이해하는 관점이 절실히 필요하다. 우리가 살아가는 오늘날의 세상은 타자와의 상호 간의 활발한 소통을 통하여 더불어 발전하고 성장하는 공간이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심층 생태주의에 기초한 시각문화 미술교육에 중점을 두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우선 그간의 연구에 비추어 보았을 때, 대부분의 생태주의 미술교육은 자연을 활용한 조형 활동, 자연친화적 사고를 함양하는 활동을 중심으로 좁은 의미를 구현하는데 머무르고 있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생태학에서 중시하는 상호관계성과 전체론적 특성에 입각한다면, 생태주의 미술교육은 보다 넓은 의미에서 논의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심층 생태주의에서 지향하는 시스템적 사고, 상호 관계성, 상생과 조화, 자아 실현, 생태적 문해력, 자기 조직화 원리에 근거한 창조성, 다양성, 복잡성과 같은 속성을 시각문화 미술교육의 방법적, 내용적 측면에서 활용함으로써 생태주의 미술교육의 실천적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뿐만 아니라, 심층 생태주의와 시각문화 미술교육와의 접목은 기존의 일반적으로 논의되어 온 시각문화 미술교육의 범위를 확장할 수 있는 신선한 대안이 될 수 있다. 이는 시각문화 미술교육이 보편화된 현 시점에서, 새로움을 모색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 기대한다. 또한 심층 생태주의와 시각문화 미술교육은 포스트모더니즘이라는 공통적 철학을 바탕으로, 기존의 권위에서 벗어난 탈중심적인 리좀적 속성을 공유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였을 때, 심층 생태주의에 기초한 시각문화 미술교육은 학습자를 중심으로 하여, 보다 다양하고 창의적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생태주의 교육의 특성과 동시에 학습자의 삶을 중심으로 한 실제적 문제, 창의적 표현 등을 중시하는 시각문화 미술교육의 특징을 총체적으로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문제중심학습을 활용하였다. 문제중심학습에서 지니고 있는 비구조화, 실제적, 복잡성, 창조성, 다양성, 학습자 중심적, 과정적, 협동학습 등의 특징은 생태주의 교육과 시각문화 미술교육이 지향하는 구성주의적 특성과 유사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 지향적인 실제적 삶에서의 학습을 중시하는 문제중심학습법을 적용함으로써 교수-학습 지도안을 구체화하고, 본 연구의 효과를 극대화하고자 하였다. 다음으로, 본 연구에서는 문제중심학습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두 가지 문제를 개발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과 교과서 및 학습자의 특성을 분석하였고, 문제 지도를 작성하였으며, 문제의 방향과 구체적인 상황 설정 등의 체계적인 절차에 따랐다. 이에 따라 개발된 문제 상황은 첫째, 자신과 다른 생물체 간의 상호 관계를 이해하고, 함께 공존하는 조화로운 세상을 만들기 위해 시각 이미지를 제작하는 활동이다. 두 번째 문제 상황은 남한과 북한 사이의 상호 관계성을 인식하고, 협력과 조화를 통해 평화를 모색하는 내용을 담은 공공미술 프로젝트 활동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 기대하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는 시스템적 사고에 입각하여 그들을 주변으로 둘러싼 생태적 체계 간의 상호관계성을 총체적으로 조망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시각 이미지에 나타난 생태적 맥락을 해석함으로써, 시각적 문해력, 생태적 문해력을 증진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미술을 통해 창의적이고 다양한 해결방안을 제작함으로써 문제해결능력과 같은 고등정신능력을 함양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협동학습을 통하여 조원들과 협력과 조화, 상생을 추구하는 태도를 기를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 심층 생태주의에 기초한 시각문화 미술교육을 구현함으로써, 기존에 좁은 의미에서 실천되어온 생태주의 미술교육의 한계를 보완함과 동시에, 시각문화 미술교육의 내용과 영역의 폭을 넓힐 수 있기를 기대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 개발한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통하여, 총체적인 사고에 입각하여 자신을 둘러싼 생태 체계의 상호관계성을 조망하고, 타인과 더불어 조화롭게 공생하며 실제적 삶을 영위하는 학습자로 거듭나기를 바라는 바이다.; The world today has made a remarkable development that could not have been imagined in the past through the development of industrialization and technology. Behind this remarkable development, the dark shadow of ecological crisis including various political, social, ideological, economic, cultural and environmental problems in the global ecosystem also came. Today, the ecological crisis in various aspects can be attributed to a humanistic and rational worldview. However, we can not focus only on human-centered and rational thinking that emphasizes only 'I' any more. It is because today's world in which we live is a space that develops and grows together through active communication. Therefore, it is urgently needed to understand the mutual relationship between entities. As an alternative, this study focused on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based on deep ecology. It is found that most of the ecological art education has been implemented in the narrow sense, focusing on nature-friendly topics. However, ecological art education can be discussed in a broader sense, if it is based on interrelationship and holistic characteristics that are treated in ecology. To overcome practical limitations of ecological art education, the traits of deep ecology such as systems thinking, interrelation, win-win and harmony, self-realization, ecological literacy, self-organizing principle can be utilized. In addition, the combination of deep ecology and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can be a fresh alternative to expand the scope of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that has been generally discussed.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search for newness at the present time that visual art education is generalized. Also, deep ecology and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share a decentralized and rhizomic traits that are based on a philosophy of post-modernism. Thus,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based on deep ecology can be implemented through diverse and creative forms. On the other hand, Problem Based Learning which emphasizes learning in the learner-oriented practical life was applied to the lesson plan in order to specify, and to maximize the effect of this study. The features of unstructured, practical, complexity, creativity, diversity, learner-centered, process-oriented, and cooperative learning in Problem Based Learning are also similar to the constructional characteristics of ecological education and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Next, two problems that play important role in Problem Based Learning were developed by following systematic procedures in this study. To specify, the revised art curriculum in 2015, textbooks for high school art class, and traits of learners were analyzed in order to develop problematic situations. The first situation is the activity of making a harmonious world by creating visual images, in order to respect every lives of living creatures. The second problem is the public art project, including the contents of interrelationship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to explore peace through cooperation and harmony. Therefore, the expected effec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learners are expected to understand the interrelationships between ecological systems that surround among them based on systems thinking. Secondly, learners are expected to improve visual literacy and ecological literacy at the same time by interpreting visual images. Third, learners are expected to develop high mental ability such as problem solving ability by creating various solutions through art. Fourth, learners are expected to harmonize with co-learners through cooperative learning. In this study, by implementing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based on deep ecology, it is expected to complement the concurrent limits of ecological art education which has been practiced in the narrow sense, and to broaden the contents and scope of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Also, it will be a good example of a lesson plan for teachers who are interested in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based on deep ecology. In addition, through the lesson plan developed in this study, hopefully, learners will be able to prospect the interrelationship of the ecological system around their lives through holistic worldview. Also they will be reborn as a students who harmoniously live with others and engages in real life.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00072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5136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ARTS AND PHYSICAL EDUCATION(예체능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