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Y - JOUR AU - 송지성 DA - 2017/09 PY - 2017 UR -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07247604 UR -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03595 AB - 본 연구는 디자인과 시스템의 융합화·복합화가 보다 다양해짐에 따라 멀티 시스템이 반영된 구조물 또한 점차 증가하는 추세를 바탕으로,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공공 구조물이 어떤 것이 있는지 그 구조물들이 사용자와의 소통이 어느 정도 지속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현재 환경소통디자인 항목에 포함되는 미디어폴과 버스쉘터, 미디어 파사드 3가지 공공물이 도시환경에서 사용성이 활발하게 적용되고 있는지, 각각의 항목에 맞게 사용성이 편리한 지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연구하였다. 연구의 범위는 사용자와 소통이 가능하고, 도시환경 디자인에 속하는 구조물 3가지로 제한하였으며, 연구방법으로는 먼저 유비쿼터스환경에서 환경소통디자인에 대한 국내외 정보 D/B 및 학위논문과 간행물, 웹사이트 검색 등의 선행연구 자료를 참고하였다. 나아가 구조물 사례 선정은 선행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물들을 바탕으로 선정하였다. 오늘날, 디지털시스템의 급진적 발전으로 유비쿼터스환경이 우리 생활 전반에 활발하게 적용되고 있다. 사용자들은 점점 더 생활하기에 편리하고 용이한 환경을 추구하고 있고, 이런 니즈를 충족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의 방향성이 제시되고 있으며, 현재까지도 계속해서 연구물들이 나오고 있다. 이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도시환경은 보다 편리해져야하며, 사용자들 또한 공공구조물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때문에 디지털 시스템은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더욱더 활발히 사용되며 중요한 위치를 지니는 것이다. 융합화·복합화는 21세기에 들어서 학계, 산업계를 비롯하여 국가적으로 발전을 권장하고 있는 핵심 분야라고 볼 수 있다. 게다가 유비쿼터스 환경이 반영된 융복합은 더욱더 사용자들의 관심과 니즈를 충족시키기에 필수불가결한 요소이다. 최근 융복합과 디자인의 발전이 사용자들에게 관심을 받으면서 자연스럽게 인간생활에 있어 편리하고 아름다운 제품 등이 생산되고 있다. 이를 기반으로 생산된 제품은 기능적 가치와 미적가치에 중점을 두고 제작되며, 이를 생산하는 기업은 사용자와 활발하게 소통하고 있다. 위의 내용을 반영한 공공물을 살펴본 결과, 사용자들을 위한 다양하고 적극적인 시스템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이보다 더 효과적이고, 지속 가능한 시스템을 성취하기 위해 구조물과 사용자간의 소통에 힘써야한다. 뿐만 아니라 총체적 관점에서 디자이너와 시스템개발자, 이를 사용하는 사용자 간의 활발한 사용자 경험 디자인을 위한 프로세스 개발이 요구된다. 또한 전기 및 신소재를 다양하게 사용해야하는 만큼 Eco-System을 확립해야하며, 본 연구가 새로운 스토리와 컨셉, 재디자인을 도출할 수 있도록 뒷받침에 필요한 자료가 되길 바란다. 지속가능한 환경 디자인에 관해 현실적으로 UX가 적극적으로 반영되어야 하고, UX관점에서 시스템과 디자인 연구를 탐색해야 한다. 궁극적으로는 향후 생겨날 유비쿼터스 환경 구조물들이 도시환경에 조화롭게 설치가능하고 우리의 생활과 더욱 긴밀한 관계를 갖도록 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를 시작으로 실제적인 디자인과 시스템간의 융합화·복합화로 공공물 멀티시스템 구축 및 소통이 보다 활발해지기를 기대한다. This research was motivated by the fact that the current trend in the convergence technology in design and system is becoming increasingly more complex and the structures using multisystem is increasing. The purpose of the research was to study what public structures are currently available under the ubiquitous environment and how these structures maintain communication with user. Accordingly, the research aimed at understanding how the usability of three pubic structures (media poll, bus shelter and media fa ade), which are included in the current environmental communication design categories, are being applied to urban environment and whether their usability is sufficiently convenient and appropriate for each category. The scope of the study was limited to the three structures above, which are capable of enabling communication with users and are classified under urban environmental design standard. For research method, domestic/overseas database, academic papers and periodicals and previous researches done found using web site searches pertaining to environmental communication design under ubiquitous environment were used. Based on them, the selection of case studies for structures were determined by the results derived from previous researches. Digital system is actively used in ubiquitous environment due to its rapid growth. Users are more and more demanding the environment that is easy and convenient for living. Accordingly, various directions for research to satisfy such demand are being suggested and the efforts are producing results today continuously. In order to maintain this, urban environment should become more convenient and users should find a way to use the public structures better. And they will be used more and more under ubiquitous environment. Today, convergence technology is the core area of research that academia, industry and the government is actively promoting in the 21st century. Also, convergence technology based on ubiquitous environment is more than enough to satisfy the interests and needs of users. With recent growth in convergence technology and design attracting more attention from users, there are increasingly more products with beautiful design and convenience being introduced. The products developed based on them were designed with both functional and aesthetic values in mind, and the companies that produce them actively communicate with users. The result of surveying public structures that reflect above show that there is more need for systematic and diverse studies for users. Also, in order to make the installation of such structure more harmonious for urban environment, the structures to be built for future ubiquitous environment should follow more realistic design and system convergence that facilitate installation of public structure multisystem and communication. PB - 한국디자인문화학회 KW - Ubiquitous KW - 유비쿼터스 KW - Environment KW - 환경 KW - User Experience KW - 사용자 경험 TI - 유비쿼터스 환경소통디자인을 기반으로한 멀티시스템 연구 - UX(User Experience) Design을 중심으로 TT - A Study on the Multisystem Based on Ubiquitous Environmental Communication Design - UX(User Experience)Design - T2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E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