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Y - THES AU - 박설아 DA - 2018/02 PY - 2018 UR -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68206 UR -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2640 AB - 본 연구는 스피닝(Spinning) 운동 시 BPM에 따른 운동강도가 중년 여성의 근육손상(CK, LDH, Myoglobin) 과 염증인자(CRP, WBC, Fibrinogen)의 변화 및 근육 회복을 규명하여, 지도자와 참여자들에게 보다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운동강도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서울 광진구 L휘트니스센터에서 주 2회 이상 규칙적으로 운동하는 40∼50대 중년여성 14명을 중강도 운동 그룹(A그룹:7명)과 고강도 운동 그룹(B그룹:7명)으로 나누어 무선 할당 배정 방식으로 실시하였다. 피험자들은 운동 전 30분간 휴식을 취한 후 1차 채혈을 실시, 스피닝 중강도(60%HRmax, 150bpm)와 고강도(75%HRmax, 160bpm) 운동 프로그램을 각각 실시한 뒤 2차 채혈을 실시하였으며, 30분간 휴식기를 갖고 3차 채혈을 실시했다. 세 차례에 걸친 측정을 통하여 측정된 결과를 토대로 통계적인 차이검증을 위해 SPSS Ver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모든 자료의 기술 통계치를 산출한 후, 시기 집단에 따른 종속변인의 차이 검증을 위해 이원변량분석(two-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시기 간 차이검증은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집단 간 차이검증은 독립 표본 t-검증(independent samples t-test)을 실시하고, 모든 통계적 유의 수준은 p<.05로 하였다. 이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1) 크레아틴인산효소(Creatine phosphokinase; CK)의 변화 스피닝 운동 시 BPM 강도에 따른 CK 변화는 집단*시기의 상호 작용 효과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집단과 시기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집단 내 시기별 검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집단 간 차이 검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2) 젖산탈수효소(Lactate dehydrogenase; CRP)의 변화 스피닝 운동 시 BPM 강도에 따른 CRP변화는 집단*시기의 상호 작용 효과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집단과 시기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집단 내 시기별 검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집단 간 차이 검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5) 백혈구(White blood cell; LDH)의 변화 스피닝 운동 시 BPM 강도에 따른 LDH변화는 집단*시기의 상호 작용 효과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집단과 시기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집단 내 시기별 검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집단 간 차이 검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3) 마이오글로빈(Myoglobin)의 변화 스피닝 운동 시 BPM 강도에 따른 Myoglobin변화는 집단*시기의 상호 작용 효과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시기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F=4.738, P=<.020) 집단 내 시기별 검증 결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사후 검증 결과 전<후 차이가 나타났다. 집단 간 차이 검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4) C-반응성 단백질(C-reative protein; WBC)의 변화 스피닝 운동 시 BPM 강도에 따른 WBC변화는 집단*시기의 상호 작용 효과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집단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F=12.761, P=<.001) 집단 내 시기별 검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집단 간 차이 검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6) 피브리노겐(Fibrinogen)의 변화 스피닝 운동 시 BPM 강도에 따른 WBC변화는 집단*시기의 상호 작용 효과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집단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F=7.814, P=<.011) 집단 내 시기별 검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집단 간 차이 검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를 종합해보면, 본 연구에서 근육 손상의 변화로 CK와 LDH에서는 유의한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마이오글로빈에서 전<후 유의한차이가 나타났다. 염증인자 변화로 CRP에서 유의한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WBC와 Fibrinogen에서 집단 간의 차이가 나타났다. 하지만, 두 집단의 운동 전, 운동 직 후, 휴식 후 근육 손상(CK, LDH, Myoglobin)과 염증인자(CRP, WBC, Fibrinogen) 변화에서 기준범위를 벗어나지 않아 중강도(60%HRmax,150bpm), 고강도(75%HRmax,160bpm)가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적절한 강도로 사료된다. 본 연구의 수치상 변화를 봤을 때 중강도 에서 운동 후 근육 손상 관련 인자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어 고강도가 효과적이라고 판단된다. 하지만 본 연구는 단기간의 운동이므로 운동에 대한 효과를 도출하기 위해 장기간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추후 연구에서는 극간의 강도 설정이 필요하다고 사료되며, 본 연구에서는 40~50대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다양한 연령 및 성별에 대한 비교 연구와 다양한 운동 프로그램과 비교를 통한 운동 효과를 검증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PB - 한양대학교 TI - 스피닝 운동 시 BPM에 따른 운동강도가 중년여성의 근육 손상과 염증인자에 미치는 영향 TT - The effect of exercise intensity according to BPM on muscle damage and inflammatory factors in middle-aged women during spinning exercise TA - Park, Seul A E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