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Y - JOUR AU - 유성호 DA - 2014/02 PY - 2014 UR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850436 UR - http://hdl.handle.net/20.500.11754/47713 AB - 신경향파의 등장 맥락을 바라보는 시각은 그동안 두 갈래의 평가를 낳아왔다. 하나는 순조로운 근대시의 발전을 가로막은 ‘생채기’에 불과했다는 부정적 시각이고, 다른 하나는 보다 적극적인 의미를 부여하여 프로문학의 발전도상에서 빚어진 이행기적인 의미로 한정하는 시각이다. 후자는 프로시로 나아가는 전 단계의 자연발생적인 성취를 신경향파시로 범주화한 결과이다. 우리는 이러한 두 가지 견해를 넘어서는 차원에서, 신경향파시가 한국 시의 다양성과 공적 심층성을 중요하게 발전시켰고, 나아가 프로문학의 전 단계로서의 이행기적 속성이 아니라 독자적 미학으로도 매우 중요한 속성을 견지하고 있다고 파악할 수 있다. 그 핵심적인 내적 원리는 다름아닌 민족주의와 낭만성을 ‘비극성’이라는 미적 범주로 통합, 결속하였고, 민족 현실의 전체성을 사유한 것 등에서 찾을 수 있다. 신경향파시의 초기 단계는 사회적 약자에 대한 소박한 긍정과 신뢰를 담는 데 멈추었다면, 그러한 한계는 이상화, 박팔양에 의해 극복된다. 이들에 의해 약자에 대한 옹호 지향은 민족주의적 열정과 매개되기도 하고 이산離散이라는 민족적 경험과 깊이 결부되기도 한다. 이렇게 신경향파시는 한국 근대시의 계몽적 출발의 초점을 개인으로 돌리지 아니하고 민족 혹은 집단의 경험으로 돌림으로써 새로운 계몽을 추구하였다. 하지만 신경향파시는 카프로 순조롭게 인적 연속성을 이월하지 못하였다. 그것은 그들 자신의 내적 기질에서 연유하는 것이기도 하고, 외적 기율이나 경험의 차이에서 발생하는 것이기도 하다. 신경향파시가 주목했던 ‘민족’ 패러다임은 매우 경험적인 것이었던 데 비해, 프로시가 받아들였던 마르크시즘은 너무도 추상적인 것이었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그리고 신경향파시가 주목했던 ‘검’이나 ‘신’ 같은 종교적 개념이 소멸하고 일방적으로 과학성으로 경사하게 된 것도 카프로의 이월이 신경향파시의 어떤 가능성을 지워버린 실례로 평가될 만하다. 따라서 우리는 신경향파시가 카프로 이월되어간 진화의 양상과 함께, 카프로 이월하면서 소진된 가능성과 자산을 함께 탐색해볼 수 있을 것이다.A perspective on the appearance of the Anti-Conventional School has produced two different assessments until now. A negative viewpoint is that it was merely a ‘wound’ that stoped the smooth development of modern poetry. The other actively attaches meaning to it and sees it as a transitional group organized during the developing process of proletarian literature. The latter is the result of categorizing the spontaneous achievements gained prior to proletarian poetry as the Anti-Conventional School poetry. From the dimension of overcoming these two views, this paper proved that the Anti-Conventional School poetry considerably fostered the diversity and public depth of Korean poetry and further it preserved not transitional properties as a preceding phase of proletarian literature but important features as an independent aesthetics. The central inner principle could be found from none other than the fact that it integrated and united nationalism and romantic ideas into the aesthetic category of ‘tragedy’ and thought about the totality of national reality. The Anti-Conventional School poetry ended of expressing naive affirmation and trust in the week of society in the early period, however, its limitations were overcame by Lee, Sang-hwa and Park, P’al-yang. With them, the tendency of supporting the week was bridged to the passion for nationalism or deeply associated with national experience of diaspora. In this way, the Anti-Conventional School poetry pursued a new enlightenment by not turning the focus of enlightening departure of modern Korean poetry to individual but to the experience of a race or group. The Anti-Conventional School poetry, however, could not successfully hand over its features to KAPF. This was coming from their cast of mind and from the difference in external discipline or experience. Also, it was because that the paradigm of ‘a race’ the Anti-Conventional School poetry paid attention to was extremely empirical, but Marxism accepted by proletarian poetry was too abstract relatively. And the extinction of the religious concepts such as ‘geom’(검, god) or ‘shin’(신, god) that received attention of the Anti-Conventional School poetry and the inclination toward science could be considered as examples of removing the possibility of the Anti-Conventional School poetry with the transition to KAPF. Therefore, the exhausted possibility and assets of the Anti-Conventional School poetry could be searched with the aspects of evolution during the transition to KAPF. PB - 한민족문화학회 KW - 신경향파시 KW - 프로시 KW - 카프 KW - 민족 KW - 비극성 KW - the Anti-Conventional School poetry KW - proletarian poetry KW - KAPF KW - a race KW - tragedy TI - 신경향파시의 재인식 TT - A New Understanding of the Anti-Conventional School Poetry VL - 45 T2 - 한민족문화연구 E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