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Y - THES AU - 윤희숙 DA - 2017/08 PY - 2017 UR - http://hdl.handle.net/20.500.11754/32898 UR -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1657 AB - 본 연구는 청소년 자원봉사가 스스로 원해서가 아닌 봉사시간 점수화제도 아래 청소년들이 자원봉사활동을 하는 과정에서 감정노동과 소진이 발생하는지 살펴보고, 어떤 분야에서 발생하는지 조사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감정노동이나 소진이 발생한 경우 봉사필요성 인식과 봉사 참여의사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청소년 자원봉사가 더욱 긍정적이고 교육적인 효과를 가져 오기 위한 개선안은 무엇일까를 도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 자료는 자원봉사의 경험이 있는 청소년들에게 봉사활동 내의 감정노동, 소진, 사례에 관련한 설문지를 배포해 경기도 일대의 중 고등학생들로부터 총 188부의 설문을 받아 활용하였다. 연구 가설은 첫째, ‘청소년 자원봉사에서 감정노동이 발생할 것이다.’ 둘째, ‘청소년 자원봉사의 감정노동과 봉사필요성 인식 간에는 부(-)적 관계가 있을 것이다.’ 셋째, ‘청소년 자원봉사의 감정노동과 봉사 참여의지간에는 부(-)적 관계가 있을 것이다.’ 넷째, ‘청소년 자원봉사에서 소진이 발생할 것이다.’ 다섯 째, ‘청소년 자원봉사의 소진과 봉사필요성 인식 간에는 부(-)적 관계가 있을 것이다.’ 여섯째, ‘청소년 자 봉사의 소진과 봉사 참여의지간에는 부(-)적 관계가 있을 것이다’였다. 연구 결과 첫 번째 가설에 대해서는 감정노동의 전체평균은 비교적 낮은 수준이었다. 그 하위요인 중 감정부조화가 가장 낮았으며, 감정노동 빈도가 가장 높았다. 조사 평균은 낮았지만 사례조사를 통해 감정노동은 발생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두 번째 가설에 대해서는 청소년 봉사활동 필요성에 대한 감정노동 간의 상관성은 낮은 부(-)의 상관성이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은 아니었다. 감정노동의 하위요인 중 감정부조화는 청소년 봉사활동의 필요성인식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세 번째 가설에 대해서는 전체 감정노동 수준이 한 단위 높아질수록 청소년의 봉사활동 참여의사는 감소한다. 네 번째 가설에 대해서는 소진이 발생하고 있었으며, 각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육체고갈, 탈진이 가장 높은 소진수준을 나타내었다. 다섯 번째 가설에 대해서는 소진이 많을수록 청소년의 봉사활동 필요성은 인지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 번째 가설에 대해서는 전체 소진이 한 단위 높아질수록 청소년의 봉사활동 참여의사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감정노동과 소진이 약한 수준으로 발생하고 있었고 가장 많이 발생한 분야는 일손 돕기였으며 다음으로 캠페인 활동의 순이었다. 청소년 봉사활동의 필요성은 전체대상자의 78.7%가 필요하다는 의견이었으며, 봉사활동의 시간규정 폐지 시 봉사활동 참여의사에 대해서 알아본 결과 전체대상자의 62.2%가 봉사활동을 하겠다는 의견이었다. 그러나 감정노동과 소진이 일어날수록 봉사 참여의사는 약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봉사활동을 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83.5%가 봉사활동 시간을 채우기 위해서였던 점은 선행연구로 이미 예상된 바이나 많은 시사점을 주는 부분이다. 따라서 봉사 활동 교육 프로그램과 다양한 봉사 프로그램 개발, 학교 지원체계 마련, 전문교사 양성, 공정한 실적 관리 및 봉사실적에 따른 보상과 시간 조정으로 학생들의 과중한 부담감을 없애주고 사회적 이해와 관계기관의 협력이 있어야 청소년 자원봉사가 교육적이고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다고 하겠다. 청소년 자원봉사활동에 감정노동의 가능성을 가지고 접근한 이번 연구가 청소년 자원봉사 의무제도의 수정 보완 및 지원제도 계발에 있어 시사점을 줄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is purpose to investigate whether emotional labor and exhaustion occurs or not and which area does it occur when they work in volunteer work under youth volunteering purpose is not voluntary, but also volunteer service scores. I investigated cases of emotional labor and exhaustion. In the case of experienced man, I wanted to find out if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necessity of volunteering and the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volunteer work. Ultimately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find out what improvements are made to encourage youth volunteering to have more positive and educational effects. The research data is 188 questionnaires related to teenagers with experience emotional labor exhaustion, and case studies in volunteer work, from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Gyeonggi Province. Research hypothese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ill be emotional labor in Youth Services. Secondly, there will be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awareness of the need for voluntary services. Third, there will be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volunteer work. Fourth, there will be exhaustion from youth volunteering. Fifth, There will be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exhaustion and recognizing the need for service. Sixth, there will be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youth volunteering and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volunteer work.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or the first hypothesis, the overall average for the emotional labor was relatively low. Among the lower factors, the perception of emotional dissonance was the lowest, and the recognition of the frequency of emotional labor was highest. Although the survey average was low on the Likert scale, it was found that emotional labor was generated through a case study. Regarding the second hypothesi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necessity for youth service and emotional labor resulted as a low negative relationship.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necessity for youth service and emotional dissonance resulted as a negative relationship. For the third hypothesis, As the overall level of emotional labor increases, the willingness of teenagers to participate in volunteer work decreases. For the fourth hypothesis, burn-out occurred. By looking at each item, physical exhaustion and exhaustion were occurred as highest level. Regarding the fifth hypothesi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necessity for youth service and exhaustion resulted as a negative relationship. Regarding the sixth hypothesis, As the overall exhaustion rate rises, the willingness of teenagers to participate in volunteer activities decreased. In other words, The survey results showed that exhaustion was occurring and emotional labor was also at a low level. The most occurrence part was a helping the works followed by campaign activities. 78.7%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needed youth service. When asked about participating in volunteer work, 62.2% of the total respondents said that they would participate in volunteer work even though volunteer work time rules are abolished. but the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volunteer work has weakened when the more emotional labor and exhaustion occurs. The reason why 83.5% of volunteering activity was to fill volunteer work hours. This gives us a lot of foreknowledge even though expected by prior research. So we have to develop volunteer work programs, diverse volunteer programs, and develop support programs in schools and foster professional teachers. Compensation should be paid to the record of the service based on fair performance management. Youth volunteering can have educational and positive effects when time adjustment removes students' heavy burden and requires social understanding and cooperation. This research has approached with the possibility of emotional labor in youth services. I expect to give a suggestion through this research to the correction and support of the youth volunteering system. PB - 한양대학교 TI - 청소년 자원봉사의 감정노동과 소진에 관한 연구 TT - A study on the emotional labor and exhaustion experience among youth volunteers TA - Yoon Hee Sook E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