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Y - JOUR AU - 현은령 DA - 2015/04 PY - 2015 UR - http://www.dbpia.co.kr/Article/NODE06276289 UR - http://hdl.handle.net/20.500.11754/23729 AB - 전승공예와 미술공예의 이원적 구조를 띠고 있는 한국의 공예는 공예의 큰 특징 중 하나인 ‘기능성’이 쇠퇴하여 보급성과 대중성이 떨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본 논문은 점차 소외되어가는 전통공예의 활성화를 위해 전통공예와 융합디자인 된 현대문화상품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이는 전통공예에 현대적 디자인을 융합하는 문화상품화 방안에 아이디어를 더하기 위한 것이며, 나아가 소비자의 니즈를 충족하고 규격화된 디자인적용으로 인한 사용성 및 생산성의 향상을 기대한 것이다. 분석결과, 전통공예를 활용한 현대문화상품은 전통공예의 ‘전통적 심미성’, ‘자연적 소재’, ‘전통기능’의 특성이 ‘현대적 기호(嗜好)’, ‘실용적 신소재’, ‘콘텐츠·스토리’라는 디자인요소와 결합되고 있다는 점이 분석되었다. 이에 따라 전통공예를 활용한 문화상품의 방법적 활성화 측면으로는 대부분 수작업으로 제조되는 공예품을 보다 더 대중적으로 상품화시키기 위해 생산 공정의 기계화 및 반자동화가 필요하다는 점이 도출되었다. 현재 전통공예산업의 주 생산방식인 수작업은 희소성의 가치와 높은 품질의 가치를 높일 수는 있지만 다량생산, 일관성 있는 생산, 경제성 향상에는 어려움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개인공방에서 소규모 위주로 제작, 판매, 유통되는 전통공예산업의 현 상황을 고려하여 국가가 주도적으로 실험적인 디자인적용과 기계화시도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이는 질적으로 풍부한 문화를 누릴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여 진정한 문화강국으로서의 자질을 갖추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PB -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KW - Convergence Design KW - Traditional Crafts KW - Modern Cultural Products TI - 전통공예와의 융합디자인을 통한 현대문화상품개발 사례분석 TT - A Case Analysis on Development in Modern Cultural Products through Convergence Design with Traditional Crafts IS - 2 VL - 15 T2 - 디지털디자인학연구 E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