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Y - THES AU - 하찬용 DA - 2019. 8 PY - 2019 UR -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09418 UR -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6021 AB - 최근 사회 추세는 4차 산업 혁명 시대로 진입하며, 각계각층에서 패러다임의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급격한 환경의 변화에서 조직들은 인공지능(AI) 기반의 자동화로 산업 구조의 변화를 시도하고 있고, 개인의 관계형성 방법도 소셜 네트워크 시스템(Social Network System)의 영향으로 다변화 되고 있다. 반면, 자동화 환경, 소셜 네트워크 시스템 환경에서 이전의 조직 내‧외 네트워킹 행동, 개인의 직무에 대한 만족이 직무성과에 여전히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지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이에 본 연구는 수도권 소재 작장인의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도 분석을 위하여 종속변수로 ‘직무성과’를 선정하고, 독립변수인 ‘네트워킹 행동’의 하위 변수 수평 네트워킹 행동, 수직 네트워킹 행동, 외부 네트워킹 행동이 매개변수 ‘직무만족’과 서로 간에 어떤 영향을 갖는지 인과 관계를 검증한다. 주된 연구 관심 대상은 매개변수인 직무만족이 미치는 효과이며, 구체적으로 “이들 변수들이 직장인의 직무성과에 직‧간접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영향을 미친다면 “각 변수들 간의 영향력의 크기는 어떤지?”를 연구문제로 설정하여 실증적 검증을 진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9년 5월 15일부터 2019년 5월 27일까지 수도권 소재 직장인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통계프로그램 SPSS 25.0을 사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설문 데이터의 타당도 및 신뢰도를 분석하고,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기술통계분석을 하였으며, 가설의 검증을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직무성과에 대한 영향력은 직무만족이 β값 0.641, 유의수준 0.001로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동일한 유의 수준에서 수평 네트워킹 행동이 β값 0.319, 수직 네트워킹 행동이 β값 0.282, 외부 네트워킹 행동이 β값 0.249의 순서로 나타났다. 또한 독립변수의 모든 하위변수는 직무만족을 매개변수로 하였을 때, 완전매개효과가 존재한다고 볼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향후 조직에서 직무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정책을 수립할 때 직무만족과 네트워킹 행동의 하위 변수들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Recently, the society has entered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many paradigm of changes are occurring at various social classes. In this sudden change of environment, organizations are trying to change their industrial structure to an AI-based system, and the forming of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s is being diversified by the influence of social network system. On the other hand, bearing in mind the automation and the social network system environment, it is important to see whether previous networking behaviors both inside or outside of an organization and the satisfaction of the individual's job influences job performance. In this regard, this study has selected 'job performance' as a dependent variable to analyze the influence of the worker's job performance, depending on how horizontal networking behavior, vertical networking behavior, external networking behavior corresponds to 'job satisfaction'. The main interest of this research was the effect of job satisfaction on the parameter, and to solve the question of "How does these variables directly or indirectly affect job performance of the employees?" and if it does, "How much of an influence does it give to each other?". To do this, we conducted questionnaires from May 15, 2019 to May 27, 2019 for employee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nd analyzed using SPSS25.0 statistical program.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 data an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hypothesis. The results showed that job satisfaction had the highest value of 0.641 and significance level of 0.001, followed by horizontal networking behavior with β value of 0.319, vertical networking behavior with β value of 0.282, and external networking behavior with β value of 0.249. In addition, when all sub-parameters of the independent variable were used as the parameters of the job satisfaction, the full mediating effect was found.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future policies should be considered to effectively utilize sub-variables of job satisfaction and networking behavior. PB - 한양대학교 TI - 네트워킹 행동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TT - Effects of Networking Behavior on Job Performance: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TA - HA, Chan Yong ER -